자료 모음/동파역전

[동파역전] 23. 박괘(剝卦, ䷖)

베트남10선비 2023. 4. 6. 23:02
728x90
반응형

, 不利有攸往. 彖曰, “, 剝也. 柔變剛也. ‘不利有攸往’, 小人長也. 順而止之, 觀象也.

見可而後動.

옳은지를 본 뒤에 움직이는 것이다.

君子尚消息盈虛, 天行也.” 象曰, “山附於地剝, 上以厚下安宅.”

身安而民與之, 則剝者自衰, 不與之校也.

몸이 평안하여 백성이 함께 한다면 박의 상태에 있는 자는 스스로 쇠하여 함께하지 못할 것이다.

初六, 剝牀以足, 蔑貞, . 象曰, “剝牀以足, 以滅下也.” 六二, 剝牀以辨, 蔑貞, . 象曰, “剝牀以辨, 未有與也.”

陽在上, 故君子以上三爻爲己. 載己者牀也, 故下爲牀. 陰之長, 猶水之溢也, 故曰蔑. , 足之上也. 牀與足之間, 故曰辨. 君子之於小人, 不疾其有邱山之惡, 而幸其有毫髮之善. 剝床以足, 且及其辨矣, 猶未直以爲凶也, 蔑貞而後凶’. 小人之於正也, 絕蔑無餘而後, 凶可必也. 若猶有餘, 則君子自其餘而懷之矣. 故曰剝牀以辨, 未有與也’. 小人之爲惡也, 有人與之, 然後自信以果. 方其未有與也, 則其愧而未果之際也.

양이 위에 있기 때문에 군자는 위의 세 효를 자기 몸으로 삼는다. 자기 몸을 싣는 것이 침상이기 때문에 아래는 침상이 된다. 음이 자라는 것은 마치 물이 넘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없어진다고 말한 것이다. 변은 다리의 윗부분이다. 침상과 다리 사이이다. 그러므로 이라고 말한 것이다. 군자가 소인에 대해서, 언덕과 산 정도의 악이 있더라도 미워하지 않고, 터럭과 머리카락만한 선이 있음을 다행으로 여긴다. 침사으이 다리가 깎이고 침상과 다리 사이의 부분에까지 이르더라도 아직은 곧바로 흉하게 되지는 않기 때문에, ‘올바름이 없어진 뒤에야 흉하다고 말하는 것이다. 소인이 올바른 일을 완전히 없앤 후에는 흉한 일이 반드시 일어난다. 만약 아직 남아 있는 선이 있다면 군자는 스스로 그 남은 선을 품는다. 그러므로 침상과 다리 사이의 부분이 깎인다는 것은 아직 다른 사람과 함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라고 말하는 것이다. 소인의 악행은 다른 사람과 함께한 뒤에 자신이 생겨 과감해지는 것이다. 아직 다른 사람과 함께하지 않았다면 스스로 부끄러워 아직은 과감해지지 않은 때이다.

六三, 剝之無咎. 象曰, “剝之無咎, 失上下也.”

王弼曰, “群陰剝陽, 己獨協焉, 雖處於剝, 可以無咎. 上下各有二陰, 應陽, 則失上下也.”

왕필이 말하였다. “여러 음이 양을 깎아내리는데, 나 홀로 협조를 하니 비록 깎아내어지는 상황에 처했으나 허물이 없다. 위와 아래에 각기 두 음효가 있기 때문에, 양에 호응한다면 위아래를 모두 잃는 것이다.”

六四, 剝床以膚, . 象曰, “剝床以膚, 切近災也.”

剝床以膚, 始及己矣. 雖欲懷之, 而不可得矣. 故直曰凶.

침상을 깎아내어 피부에 도달했다는 것은 이제 자기 몸에 다다른 것이다. 비록 그것을 품고자 하지만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바로 흉하다고 말한 것이다.

六五, 貫魚以宮人寵. 無不利. 象曰, “以宮人寵, 終無尤也.”

觀之世幾於剝矣, 而言不及小人者, 其主陽也. 六五剝之主, 凡剝者, 皆其類也. 聖人不能使之無寵於其類, 故擇其害之淺者許之. 四以下貫魚之象也. 自上及下, 施寵均也. 夫寵均則勢分, 勢分則害淺矣. 以宮人之寵, 寵之不及以政也. 不及以政, 豈惟自安, 亦以安之. 故無不利. 聖人之教人也, 容其或有, 而去其太甚, 庶幾從之. 如責之以必無, 則彼有不從而已矣.

관괘의 세상이 박에 가까운데도 말이 소인에 대해 미치지 않은 것은 양을 주로 하기 때문이다. 육오효가 박괘의 주군이니 무릇 깎아내는 자들이 모두 그 부류다. 성인은 육오효가 그 무리를 총해하지 않도록 만들 수는 없기 때문에, 사소한 해로움들을 가려내어 그에게 허락한다. 사효 이하는 한 줄로 물고기를 꿴 형상이다. 위로부터 아래에 이르기까지 균등하게 총애를 베푼다. 대개 총애가 균등해지면 세력이 나누어지고, 세력이 나누어지면 해로움이 엷어진다. 궁인에게 총애를 베푸는 것은 정치에까지는 미치지 않는다. 정치에까지는 미치지 않으니, 자신만 편안한 것이 아니라 타인 역시 편안하게 만든다. 그러므로 이롭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성인은 사람을 가르칠 때 간혹 발생하는 잘못은 용납하고, 매우 심한 잘못만을 제거하니 거의 복종한다. 만약 완벽하게 잘못이 없기를 바란다면 저들은 결코 복종하지 않을 것이다.

上九, 碩果不食. 君子得輿, 小人剝廬. 象曰, “君子得輿, 民所載也, 小人剝廬, 終不可用也.”

果未有不見食者也, 碩而不見食, 必不可食者也. 智者去之, 愚者眷焉. 上九之失民, 久矣, 五陰之勢, 足以轢而取之. 然且獨存於上者, 彼特存我以爲名爾. 與之合則存, 不與之合則亡. 君子以爲是不可食之果也, 而亟去之, 彼得志於上, 必食其下. 故君子去其上, 而出其下, 可以得民. 載於下謂之輿, 庇於上謂之廬. 廬者, 既剝之餘也, 豈可復用哉?

과일은 먹지 못하는 것이 없는데, 크면서도 먹히지 않는 것은 필시 먹을 수 없는 것이다. 지혜로운 자는 이것을 떠나고, 어리석은 자는 거기에 말려든다. 상구효가 백성을 잃은 지는 오래되었으니, 다섯 음효의 세력이 이것을 짓밟아 취하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위에 홀로 존재하는 자는 특히 괘가 존재하는 명분이 되는 효이다. 상구효와 함께 합치면 존재하고, 함께 합치지 않으면 망한다. 군자는 그것이 먹을 수 없는 과일이라고 생각해 빨리 떠난다. 상구효가 위에서 뜻을 얻으면 반드시 그 아래 것을 먹는다. 그러므로 군자가 그 윗자리를 떠나서 그 아래로 내려가면 백성을 얻을 수 있다. 싣는 것을 수레라 부르며, 위에서 덮는 것을 초막이라 부른다. 초막은 이미 깎이고 남은 것이니, 어떻게 다시 쓰일 수 있겠는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