賁, 亨. 小利有攸往. 彖曰, “賁亨, 柔來而文剛, 故亨. 分剛上而文柔. 故‘小利有攸往’, 天文也; 文明以止, 人文也.
剛不得柔以濟之, 則不能亨; 柔不附剛, 則不能有所往. 故柔之文剛, 剛者所以亨也; 剛之文柔, 柔者所以利往也. 乾之爲離, 坤之爲艮, 陰陽之勢數也. 文明以止, 離艮之德也. 勢數推之天, 其德以爲人. 易有剛柔往來, 上下相易之說, 而其最著者, 賁之彖也. 故學者沿是爭推其所從變, 曰‘泰變爲賁’, 此大惑也. 一卦之變爲六十三, 豈獨爲賁也哉? 學者徒知泰之爲賁, 又烏知賁之不爲泰乎? 凡易之所謂剛柔相易者, 皆本諸乾坤也. 乾施一陽於坤, 以化其一陰而生三子, 皆一陽而二陰. 凡三子之卦, 有言剛來者, 明此本坤也而乾來化之. 坤施一陰於乾, 以化其一陽而生三女, 皆一陰而二陽. 凡三女之卦, 有言柔來者, 明此本乾也而坤來化之. 故凡言此者, 皆三子三女相值之卦也. 非是卦也, 則無是言也. 凡六, 蠱之彖曰‘剛上而柔下’, 賁之彖曰‘柔來而文剛, 分剛上而文柔’, 咸之彖曰‘柔上而剛下’, 恒之彖曰‘剛上而柔下’, 損之彖曰‘損下益上’, 益之彖曰‘損上益下’. 此六者, 適適遇而取之也. 凡三子三女相值之卦十有八, 而此獨取其六, 何也? 曰, 聖人之所取以爲卦, 亦多術矣. 或取其象, 或取其爻, 或取其變, 或取其剛柔之相易. 取其象, “天水違行訟”之類是也. 取其爻, “六三履虎尾”之類是也. 取其變, “頤中有物曰噬嗑”之類是也. 取其剛柔之相易, 賁之類是也. 夫剛柔之相易, 其所取以爲卦之一端也. 遇其取者則言, 不取者則不言也, 又何以盡怪之歟.
剛함은 부드러움을 얻어 구제하지 못하면 성장할 수 없고, 부드러움은 剛함에 붙지 않으면 갈 곳이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부드러움이 강함을 장식하는 것은 강함이 성장하는 까닭이 되고, 강함이 부드러움을 장식하는 것은 부드러움이 이롭게 나아가는 까닭이 된다. 건이 리가 되고, 곤이 간이 되는 것은 음양의 형세에 따른 이치이다. 문명으로써 그치는 것은 리와 간의 덕이다. 형세에 따른 이치가 추구하는 것은 하늘이고, 그 덕으로는 사람을 위한다. 『주역』에 剛柔가 서로 왕래하고 上下가 서로 바뀐다는 설이 있는데, 가장 현저한 것이 비괘의 「단전」이다. 그러므로 학자들이 이를 따라서 앞다투어 변화의 근원을 추측하여 말하기를 ‘태괘가 변해서 비괘가 되었다’고 하지만, 이것은 크게 미혹된 것이다. 한 괘가 변화하여 63가지가 될 수 있는데 어찌 오로지 비괘만 되겠는가? 학자들은 오로지 태괘가 비괘가 되는 것만 알고, 또 어찌해 비괘는 태괘가 되지 않는다고 아는 것인가? 무릇 『주역』에 剛柔가 서로 바뀐다고 말하는 바는 모두 건과 곤에 근본하고 있다. 건이 곤에 일양을 베풀면 그 한 음효를 변화시켜 ‘세 남자’를 낳는데, 모두 하나의 양효에 두 개의 음효를 가지고 있다. 무릇 이 ‘세 남자’의 괘에서 ‘강함이 왔다’고 말하는데, 본래는 곤이었지만 건이 와서 변화하였음을 밝힌 것이다. 곤이 건에 하나의 음을 베풀면 그 한 양효를 변화시켜 ‘세 여자’를 낳는데, 모두 하나의 음효에 두 개의 양효를 가지고 있다. 무릇 이 ‘세 여자’의 괘에서 ‘부드러움이 왔다’고 말하는데, 본래는 건이었지만 곤이 와서 변화하였음을 밝힌 것이다. 그러므로 무릇 강유의 왕래를 말하는 경우는 모두 ‘세 여자’와 ‘세 남자’가 서로 만난 괘이다. 이런 괘가 아니라면 이런 말도 없을 것이다. 모두 6가지이며, 고괘 「단전」에 “강함이 올라가고 부드러움이 내려온다”고 말했고, 비괘 「단전」에 “부드러움이 와서 강함을 장식하고, 강함은 올라가서 부드러움을 장식하여 나뉜다”고 했고, 함괘 「단전」에서 “부드러움이 올라가고 강함이 내려온다”고 했고, 항괘 「단전」에서 “강함이 올라가고 부드러움이 내려온다”고 했으며, 손괘 「단전」에서는 “아래에서 덜어 위에다 보탠다”고 했고, 익괘 「단전」에서는 “위에서 덜어 아래에다 보탠다”고 했다. 이 6개의 괘는 가서 만난 것을 취한 것이다. 무릇 ‘세 남자’와 ‘세 여자’가 만나는 괘는 18개가 있는데, 여기서 단지 6개의 괘만 취한 것은 왜인가? 말하겠다. 성인이 취하여 괘로 삼는 방법에도 여러 형태가 있다. 때로는 그 상을 취하고, 때로는 그 효를 취하며, 때로는 그 변화를 취하고, 때로는 강유가 서로 바뀌는 것을 취한다. 그 상을 취한 경우로는 ‘하늘과 물이 어긋나게 하는 것이 訟이다’는 류가 이것이다. 그 효를 취한 경우로는 ‘육삼효는 호랑이 꼬리를 밟는다’는 류가 이것이다. 그 변화를 취한 경우로는 ‘턱 사이에 물건이 있는 것을 서합이라 한다’와 같은 류가 이것이다. 강유가 서로 바뀌는 것을 취한 경우로는 비괘와 같은 류가 이것이다. 강유가 서로 바뀌는 것은 그것을 취해 괘로 삼는 한 단서이다. 그것이 취할 것이면 말하고, 취하지 않을 것이면 말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의심스러움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觀乎天文, 以察時變, 觀乎人文, 以化成天下.” 象曰, “山下有火賁. 君子以明庶政, 無敢折獄.”
明庶政, 明也. 無敢折獄, 止也.
여러 정사를 분명히 한다는 말은 ‘밝다’는 것이다. 형벌의 판결을 감행하지 않는다는 것은 ‘그친다’는 것이다.
初九, 賁其趾. 舍車而徒. 象曰, “舍車而徒, 義弗乘也.”
文剛者, 六二也. 初九九三, 見文者也. 自六二言之, 則初九其趾, 九三其須也. 初九之應在四, 六二之文, 初九之所不受也. 車者, 所以養趾爲行文也. 初九爲趾, 則六二之所以文初九者, 爲車矣. 初九自潔以答六四之好, 故義不乘其車而徒行也.
강함을 장식하는 자는 육이효이다. 초구효와 구삼효는 꾸밈을 당하는 자이다. 육이효로부터 말하면 초구효는 그 발이 되고, 구삼효는 그 얼굴의 수염이 된다. 초구효의 호응이 사효에 있기 때문에 육이효가 초구효를 장식하려 해도 받지 않는다. 수레란 발을 잘 보호하여 행함을 꾸미는 것이다. 초구효가 발이 된다면 초구효를 꾸미는 육이효는 수레가 된다. 초구효는 스스로를 깨끗이 함으로써 육사효의 호의에 답하기 때문에 도의상 수레를 타지 않고 걸어가는 것이다.
六二, 賁其須. 象曰, “賁其須, 與上興也.”
六二施陰於二陽之間, 初九有應而不受, 九三無應而內之. 無應而內之者, 正也. 是以仰賁其須. 須者, 附上而與之興也.
육이효는 두 양 사이에서 음을 베푸는데, 초구효는 응함이 있어서 받지 않고, 구삼효는 응함이 없어서 그것을 받아들인다, 호응이 없어서 받아들이는 것은 올바른 것이다. 그런 까닭에 우러러서 그 수염을 꾸미는 것이다. 수염이란 위에 붙어서 함께 흥하는 것이다.
九三, 賁如濡如. 永貞吉. 象曰, “永貞之吉, 終莫之陵也.”
初九之正配四也, 而九三近之; 九三之正配二也, 而初九近之. 見近而不貞, 則失其正. 故九三不貞於二, 而貳於四, 則其配亦見陵於初九矣. 初九亦然. 何則無以相賁也. 自九三言之, 賁我者, 二也, 濡我者, 四也. 我可以兩獲焉, 然而以永貞于二爲吉也.
초구효의 올바른 짝은 사효인데 구삼효가 그것을 가까이 하고, 구삼효의 올바른 짝은 이효인데 초구효가 그것을 가까이 한다. 가까운 것만 보고 곧지 않다면 그 올바름을 잃는다. 그러므로 구삼효가 이효에게 곧지 않고 사효에게 두 마음을 품는다면 그 ᄍᆞᆨ인 이효 역시 초구효에게 침범을 당하게 된다. 초구효 역시 마찬가지다. 왜냐하면 서로 꾸밀 대상이 없기 때문이다. 구삼효로부터 말하면 나를 꾸미는 자는 이효이고, 나를 윤기 있게 하는 자는 사효에다. 나는 둘을 모두 얻을 수 있지만 이효에게 길이 곧아야 길하게 된다.
六四, 賁如皤如. 白馬翰如. 匪寇婚媾. 象曰, “六四當位, 疑也. ‘匪寇婚媾’, 終無尤也.”
六四當可疑之位者, 以近三也. 六二以其賁, 賁初九, 而初九全其潔皤然也. 初九之所以全其潔者, 凡以爲四也, 四可不以潔答之乎? 是以潔其車馬翼然, 而往從之以三爲寇而莫之媾也. 此四者, 危疑之間, 交爭之際也. 然卒免於侵陵之禍者, 以四之無不貞也.
육사효가 의심할 만한 위치에 해당하는 것은 삼효에 가깝기 때문이다. 육이효는 그 장식으로 초구효를 꾸미고자 하지만 초구효는 그 깨끗함을 온전하게 하므로 흰 듯하다. 초구효가 그 깨끗함을 온전하게 하는 까닭은 사효를 생각하기 때문이니, 사효가 깨끗함으로써 이에 답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따라서 깨끗한 그 수레와 말의 도움을 받아 삼효에게 나아가 순종한다면 도적이 되기 때문에 혼인하지 못한다. 이 4개의 효는 위태하고 의심하는 사이이자, 서로 다투는 경계에 있다. 그러나 결국 침범의 화를 면하게 되는 이유는 사효가 곧지 않음이 없기 때문이다.
六五, 賁於丘園, 束帛戔戔. 吝終吉. 象曰, “六五之吉, 有喜也.”
丘園者, 僻陋無人之地也. 五無應于下, 而上九之所賁也. 故曰‘賁於丘園’, 而上九亦無應者也. 夫兩窮而無歸, 則薄禮可以相縻而長久也. 是以雖吝而有終, 可不謂吉乎? 彼苟有以相喜, 則吝而吉可也. 戔戔, 小也.
언덕과 동산은 외지고 누추하여 사람이 없는 땅이다. 오효는 아래에 호응하는 것이 없어서 상구효의 꾸밈을 받는다. 그러므로 ‘언덕과 정원을 장식한다’고 말하는 것며, 상구효 역시 호응함이 없는 자이다. 이 두 효가 궁하여 돌아갈 곳이 없으니 보잘것없는 예물이라 하더라도 서로를 묶어 매어 길고 오래갈 수 있다. 이런 까닭에 비록 부끄럽더라도 끝마침이 있으니 길하다고 말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저들이 만약 서로를 기뻐할 수 있다면 부끄럽더라도 길할 수 있는 것이다. ‘전전’은 ‘작다’이다.
上九, 白賁無咎. 象曰, “白賁無咎, 上得志也.”
夫柔之文剛也, 往附於剛, 以賁從人者也. 剛之文柔也, 柔來附之, 以人從賁者也. 以賁從人, 則賁存乎人, 以人從賁, 則賁存乎己. 此上九之所以得志也. 陽行其志而陰聽命惟其所賁. 故曰‘白賁’. 受賁莫若白.
무릇 부드러움이 강함을 장식하는 것은 강에 가서 붙는 것이기 때문에 꾸밈을 가지고 다른 사람을 따르는 것이다. 강함이 부드러움을 장식하는 것은 부드러움이 와서 붙는 것이기 때문에 타인을 가지고 꾸밈을 따르는 것이다. 꾸밈을 가지고 타인을 따르면 꾸밈이 타인에게 있지만, 타인을 가지고 꾸밈을 따르면 꾸밈이 자기에게 있는 것이다. 이것이 상구효가 뜻을 얻게 되는 까닭이다. 양이 그 뜻을 행하면 음은 오직 꾸밈을 받는 자의 명령만을 듣는다. 그러므로 ‘하얀 장식’이라고 말한다. 꾸밈을 받아들이는 데는 하얀색 만한 것이 없다.
'자료 모음 > 동파역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파역전] 24. 복괘(復卦, ䷗) (2) | 2023.04.18 |
---|---|
[동파역전] 23. 박괘(剝卦, ䷖) (0) | 2023.04.06 |
[동파역전] 21. 서합괘(噬嗑卦, ䷔) (0) | 2023.03.29 |
[동파역전] 20. 관괘(觀卦, ䷓) (1) | 2023.03.25 |
[동파역전] 19. 임괘(臨卦, ䷒) (1) | 2023.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