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료 모음/동파역전 31

[동파역전] 31. 함괘(咸卦, ䷞)

咸, 亨利貞. 取女吉. 彖曰, “咸, 感也. 柔上而剛下. 二氣感應, 以相與. 止而說男下女. 是以亨 利貞, 取女吉也. 下之而後得, 必貞者也. 取而得貞, 取者之利也. 아래로 내려간 뒤에 얻는 자는 반드시 곧은 자이다. 곧은 자를 취해서 얻으면 취한 자는 이익이 된다. 天地感而萬物化生, 聖人感人心而天下和平. 觀其所感, 而天地萬物之情, 可見矣.” 情者, 其誠然也. 雲從龍, 風從虎, 无故而相從者, 豈容有僞哉? 정이란 진실한 모습 그대로를 말한다. 구름이 용을 따르고, 바람이 호랑이를 따르는 것은 이유 없이 서로를 따르는 것이니 어찌 거짓을 용납하겠는가? 象曰, “山上有澤咸. 君子以虛受人.” 初六, 咸其拇. 象曰, “咸其拇, 志在外也.” 外, 四也. 咸其拇者, 以是爲咸也. 咸者以神交. 夫神者將遺其心, 而況於身乎? ..

[동파역전] 30. 리괘(離卦, ䷜)

離, 火之爲物, 不能自見, 必麗於物而後有形. 故離之象, 取於火也. 불이라는 것은 스스로 나타날 수 없으며, 반드시 사물에 붙은 후에야 형체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의 상은 불에서 취한다. 利貞, 亨. 畜(휵)牝牛吉. 彖曰, “離, 麗也. 日月麗乎天, 百穀草木麗乎土. 言萬物各以其類麗也. 만물은 각기 그 부류에 따라서 붙어 있다는 말이다. * 畜牝은 ”암소를 기르다“이므로, 畜은 ‘휵’으로 발음. 重明以麗乎正, 乃化成天下. 柔麗乎中正故亨. 是以畜牝牛吉也.” 六麗二五, 是柔麗中正也. 物之相麗者, 不正則易合而難久; 正則難合而終必固. 故曰‘利貞亨.’ 欲知其所畜, 視其主. 有是主然後可以畜是人也. 有其人而无其主, 雖畜之不爲用. 故以柔爲主, 則所畜者, 惟牝牛爲吉. 육(음효)가 이효와 오효에 붙어 있는 것이 ‘부드..

[동파역전] 29. 감괘(坎卦, ䷜)

習坎, 坎, 險也, 水之所行而非水也. 惟水爲能習行於險. 其不直曰坎, 而曰習坎, 取於水也. 감은 ‘험함’이며, 물이 움직이게 하는 바이지, 물 자체가 아니다. 오직 물만이 험한 곳에서 익숙하게 움직일 수 있다. 그것을 곧바로 ‘감(坎)’이라 하지 않고 ‘습감(習坎)’이라고 말하는 것은 물에서 취한 것이다. 有孚, 維心亨. 行有尙. 彖曰, “習坎重險也, 水流而不盈.” 險故流, 流故不盈. 험난하기 때문에 흐르고, 흐르기 때문에 가득 차지 않는다. 行險而不失其信. 萬物皆有常形, 惟水不然, 因物以爲形而已. 世以有常形者爲信, 而以无常形者爲不信. 然而方者可斲以爲圜, 曲者可矯以爲直, 常形之不可恃以爲信也. 如此今夫水, 雖无常形, 而因物以爲形者, 可以前定也. 是故工取平焉, 君子取法焉. 惟无常形, 是以遇物而无傷, 惟莫之傷也..

[동파역전] 28. 대과괘(大過卦, ䷛)

大過, 棟橈. 利有攸往, 亨. 彖曰, “大過, 大者過也. 棟橈, 本末弱也. 剛過而中, 巽而說行. 利有攸往, 乃亨. 二五者, 用事之地也. 陽自內出據用事之地, 而擯陰於外, 謂之大過, 大者過也. 陰自外入, 據用事之地, 而囚陽於內, 謂之小過, 小者過也. 過之爲言, 偏盛而不均之謂也. 故大過者, 君驕而无臣之世也. 易之所貴者, 貴乎陽之能御陰, 不貴乎陽之陵陰而蔑之也. 人徒知夫陰之過乎陽之爲禍也, 豈知夫陽之過乎陰之不爲福也哉? 立陰以養陽也, 立臣以衛君也. 陰衰則陽失其養, 臣弱則君棄其衛. 故曰‘大過, 大者過也. 棟橈, 本末弱也.’* 四陽者棟也, 初上者棟之所寄也. 弱而見擯, 則不任寄矣. 此棟之所以橈也. 棟橈吾將壓焉. 故大過之世, 利有事而忌安居. 君侈已甚, 而國无憂患, 則上益張而下不堪, 其禍可待也. 故利有攸往. 所利於往者, 利其..

[동파역전] 27. 이괘(頤卦, ䷚)

頤, 貞吉. 觀頤, 自求口實. 彖曰, “頤貞吉, 養正則吉也. 觀頤, 觀其所養也. 謂上九. 상구효를 말한다. 自求口實, 觀其自養也. 謂初九. 초구효를 말한다. 天地養萬物, 聖人養賢以及萬民, 頤之時, 大矣哉!” 象曰, “山下有雷頤, 君子以愼言語 節飮食.” 上止下動, 有頤*之象 故君子治所以養口者. 人之所共知而難能者, 愼言語, 節飮食也. 言語一出而不可復入, 飮食一入而不可復出者也. 위는 그치고 아래는 움직이니 이(頤)의 상이 있다. 그러므로 군자는 먹여 기르는 방법으로 다스리는 자이다. 사람들이 모두 아는 바이지만 능히 하기 힘든 것이 언어를 삼가고 음식을 절제하는 것이다. 언어는 한 번 나오면 다시 들일 수 없고, 음식은 한 번 들어가면 다시 나올 수 없는 것이다. * 저본으로 사용한 책의 역자는 이를 順으로 ..

[동파역전] 26. 대축괘(大畜卦, ䷙)

大畜, 利貞. 不家食. 吉. 利涉大川. 彖曰, “大畜, 剛健篤實, 輝光日新其德. 剛健者乾也, 篤實者艮也. 輝光者, 二物之相磨, 而神明見也. 乾不得艮, 則素健而已矣; 艮不得乾, 則徒止而已矣. 以止厲健, 以健作止, 而德之變不可勝窮也. 강건한 것은 건이고 독실한 것은 간이다. 밝은 빛이란 두 사물이 서로 연마하여 신명이 드러나는 것이다. 건은 간을 얻지 못하면 부질없는 굳건함일 뿐이고, 간은 건을 얻지 못하면 헛되이 그칠 뿐이다. 그치는 것으로써 굳건함을 갈고 닦으며, 굳건함으로써 그침을 행하니 덕의 변화가 끝이 없다. 剛上而尙賢, 能止健, 大正也. 大者正也, 謂上九也. 故謂之賢. 賢者, 見畜於上九, 所以爲大畜也. 큰 자가 올바르다는 것을 상구효를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어진 자..

[동파역전] 25. 무망괘(無妄卦, ䷘)

無妄, 元亨利貞. 其匪正有眚. 不利有攸往. 彖曰, “無妄, 剛自外來而爲主於內. 謂初九. 초구효를 말한다. 動而健, 剛中而應. 謂九五. 구오효를 말한다. 大亨以正, 天之命也. 無妄者, 天下相從於正也. 正者, 我也. 天下從之者, 天也. 聖人能必正, 不能使天下必從, 故以無妄爲天命也. 무망이란 천하가 서로 바름을 추구하는 것이다. 바른 자는 나이고, 천하가 추종하는 것은 하늘이다. 성인은 반드시 바를 수 있지만 천하로 하여금 반드시 추종하게 만들 수는 없으므로 무망을 천명으로 삼는다. 其匪正有眚, 不利有攸往. 無妄之往, 何之矣? 天命不佑, 行矣哉?” 無故而爲惡者, 天之所甚疾也. 世之妄也, 則其不正者, 容有不得已焉. 無妄之世, 正則安, 不正則危. 棄安即危非人情, 故不正者, 必有天災. 이유없이 악을 행하는 것은 하..

[동파역전] 24. 복괘(復卦, ䷗)

復, 亨. 出入無疾, 朋來無咎. 反復其道, 七日來復, 利有攸往. 彖曰, “復亨, 剛反動而以順行. 是以出入無疾. 自坤爲復謂之入, 自復爲乾謂之出. 疾, 病也. 곤괘로부터 복괘가 되는 것을 입(入, 들어옴)이라 말하고, 복괘로부터 건괘가 되는 것을 출(出, 나감)이라 말한다. 질은 병이다. ‘朋來無咎. 反復其道, 七日來復.’ 天行也. 坤與初九爲七. 곤괘와 초구효가 합쳐져서 7이 된다. ‘利有攸往.’ 剛長也. 復其見天地之心乎.” 見其意之所向謂之心, 見其誠然謂之情. 凡物之將亡而復者, 非天地之所予者, 不能也. 故陽之消也, 五存而不足, 及其長也甫一而有餘, 此豈人力也哉? 傳曰, “天之所壞, 不可支也. 其所支, 亦不可壞也.” 違天不祥, 必有大咎. 그 뜻이 향하는 바를 보는 것을 마음이라고 부르며, 진실로 그러함을 보는 ..

[동파역전] 23. 박괘(剝卦, ䷖)

剝, 不利有攸往. 彖曰, “剝, 剝也. 柔變剛也. ‘不利有攸往’, 小人長也. 順而止之, 觀象也. 見可而後動. 옳은지를 본 뒤에 움직이는 것이다. 君子尚消息盈虛, 天行也.” 象曰, “山附於地剝, 上以厚下安宅.” 身安而民與之, 則剝者自衰, 不與之校也. 몸이 평안하여 백성이 함께 한다면 박의 상태에 있는 자는 스스로 쇠하여 함께하지 못할 것이다. 初六, 剝牀以足, 蔑貞, 凶. 象曰, “剝牀以足, 以滅下也.” 六二, 剝牀以辨, 蔑貞, 凶. 象曰, “剝牀以辨, 未有與也.” 陽在上, 故君子以上三爻爲己. 載己者牀也, 故下爲牀. 陰之長, 猶水之溢也, 故曰蔑. 辨, 足之上也. 牀與足之間, 故曰辨. 君子之於小人, 不疾其有邱山之惡, 而幸其有毫髮之善. 剝床以足, 且及其辨矣, 猶未直以爲凶也, 曰‘蔑貞而後凶’. 小人之於正也, 絕..

[동파역전] 22. 비괘(賁卦, ䷕)

賁, 亨. 小利有攸往. 彖曰, “賁亨, 柔來而文剛, 故亨. 分剛上而文柔. 故‘小利有攸往’, 天文也; 文明以止, 人文也. 剛不得柔以濟之, 則不能亨; 柔不附剛, 則不能有所往. 故柔之文剛, 剛者所以亨也; 剛之文柔, 柔者所以利往也. 乾之爲離, 坤之爲艮, 陰陽之勢數也. 文明以止, 離艮之德也. 勢數推之天, 其德以爲人. 易有剛柔往來, 上下相易之說, 而其最著者, 賁之彖也. 故學者沿是爭推其所從變, 曰‘泰變爲賁’, 此大惑也. 一卦之變爲六十三, 豈獨爲賁也哉? 學者徒知泰之爲賁, 又烏知賁之不爲泰乎? 凡易之所謂剛柔相易者, 皆本諸乾坤也. 乾施一陽於坤, 以化其一陰而生三子, 皆一陽而二陰. 凡三子之卦, 有言剛來者, 明此本坤也而乾來化之. 坤施一陰於乾, 以化其一陽而生三女, 皆一陰而二陽. 凡三女之卦, 有言柔來者, 明此本乾也而坤來化之. 故凡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