否之匪人, 不利君子貞. 大往小來. 彖曰, “否之匪人, 不利君子貞, 大往小來, 則是天地不交而萬物不通也, 上下不交而天下無邦也. 內陰而外陽, 內柔而外剛, 內小人而外君子, 小人道長, 君子道消也.”
春秋傳曰, “不有君子, 其能國乎?” 君子道消, 雖有國與無同矣.
춘추좌전에서 말하였다. “군자가 없는데 그것이 나라일 수 있겠는가?”
* 춘추 좌전 문공 12년조, “襄仲曰, ‘不有君子, 其能國乎?”
象曰, “天地不交否. 君子以儉德辟難, 不可榮以祿.” 初六, 拔茅茹, 以其匯. 貞吉亨. 象曰, “拔茅貞吉, 誌在君也.”
自泰爲否也易, 自否爲泰也難. 何也? 陰陽易位, 未有不誌於復, 而其既復, 未有不安其位者也. 故泰有征, 而否無征. 夫茍無征, 則是終無泰也而可乎? 故坤處內而不忘貞於乾, 斯所以爲泰之漸矣. 故亨.
태로부터 비가 되는 것은 쉽지만, 비로부터 태가 되는 것은 어렵다. 왜 그런가? 음양이 서로 위치를 바꾼 상황에서는 돌아가는 것에 뜻을 두지 않음이 없지만, 이미 돌아간 뒤에는 그 위치에 안주하지 않음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태는 정벌함이 있지만 비는 정벌함이 없다. 그러나 정말로 정벌함이 없다면 영원히 태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니 옳겠는가? 그러므로 곤은 안에 위치하면서도 건에게 곧음을 잊지 않으니, 이 때문에 태의 상태로 차츰 나아간다. 그러므로 형통한 것이다.
六二, 包承, 小人吉, 大人否亨. 象曰, “大人否亨, 不亂群也.”
陰得其位, 欲包群陽, 而以承順取之, 上說其順而不知其害, 此小人之吉也. 大人之欲濟斯世也, 茍出而爭之, 上則君莫之信, 下則小人之所疾. 故莫如否. 大人否而退, 使君子小人之群不相亂, 以爲邪之勝正也. 常於交錯未定之間, 及其群分類別, 正未有不勝者也. 故亨.
음이 그 지위를 얻고는 양의 무리를 덮어싸고자 하여, 받들어 순종함으로써 양의 무리를 취하면, 윗사람이 그 순종함만을 좋아하고 그 해악을 모르니 이것이 소인의 길함이다. 대인이 이세상을 구제하고자 하여 나타나 그들과 싸운다면, 위에서는 군왕이 그를 믿지 않고, 아래에서는 소인의 미움을 받는다. 그러므로 막히는 것만 못하다. 대인이 막혀 물러나면서 군자와 소인의 무리가 서로를 어지럽히지 않는 것을 사악함이 올바름을 이기는 거라고 생각한다. 어러이 뒤섞여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를 나누고 종류를 구별하는 상태에 이르기까지 올바른 것이 이기지 않은 적이 없었다. 그러므로 형통한 것이다.
六三, 包羞. 象曰, “包羞, 位不當也.”
三本陽位, 故包承群陽而知羞之矣.
삼효는 본래 양의 자리이기 때문에 양의 무리를 덮어 싸고 받들면서도 그것을 부끄러워할 줄 아는 것이다.
九四, 有命無咎. 疇離祉. 象曰, “有命無咎, 誌行也.”
君子之居否, 患無以自行其誌爾. 初六有志於君而四之應, 茍有命我, 無庸咎之矣. 故君子之疇, 獲離其福. 疇, 類也.
군자는 비에 처하여, 그 뜻을 스스로 행할 방법이 없음을 근심할 뿐이다. 초육효는 군왕에 뜻을 두고 사효와 호응하니, 만약 나에게 명이 있다면 초육효를 탓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군자의 무리가 그 복을 얻어 가진다. 疇는 ’무리‘이다.
九五, 休否, 大人吉. 其亡其亡, 系於苞桑. 象曰, “大人之吉, 位正當也.”
九五大人之得位, 宜若甚安且強者也. 然其實制在於內, 席其安強之勢, 以與小人爭而求勝, 則不可. 故曰‘休否, 大人吉.’ 恃其安強之勢, 而不虞小人之內勝, 亦不可. 故曰‘其亡其亡, 系於苞桑.’ 休否者所謂大人否也. 小人之不吾敵也, 審矣. 惟乘吾急, 則有以幸勝之利, 在於急, 不在於緩也. 茍否而不爭, 以休息之, 必有不吾敵者見焉, 故大人吉.
구오효는 대인의 지위를 얻었으므로 매우 편안하고 또 강한 듯하다. 그러나 사실은 안에서 제재를 받고 있으니, 그 편안하고 강한 세력을 이용해서 소인과 다투어 승리를 구하는 것은 옳지 않다. 그러므로 ‘막혀서 쉬면 대인은 길하다’고 말한 것이다. 그 편안하고 강한 세력만 믿고 소인이 안에서 승리하는 일을 근심하지 않는 것 또한 옳지 않다. 그러므로 ‘망할까 망할까하면서 뽕나무 뿌리에 묶여 있다’고 말한 것이다. 막혀서 쉰다고 하는 것은 대인의 막힘을 말하는 것이다. 소인이 나의 적이 아닌지를 살핀다. 오직 내가 급히 기회를 이용하면 다행스럽게도 이길 수도 있지만, 이익은 재 빠른 데 있지 느린 데 있지 않다. 진실로 막혔지만 싸우지 않고 휴식하면 반드시 나와 적이 아닌 자를 만나게 되므로 대인은 길한 것이다.
上九, 傾否. 先否, 後喜. 象曰, “否終則傾, 何可長也.”
否至於此, 不可復因, 非傾蕩掃除, 則喜無自至矣.
비가 여기에 이르면 말미암은 곳으로 돌아갈 수 없으니, 기울여 씻고 쓸어버리지 않으면 기쁨이 스스로 이르지 못한다.
'자료 모음 > 동파역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파역전] 14. 대유괘(大有卦, ䷌) (0) | 2023.03.20 |
---|---|
[동파역전] 13. 동인괘(同人卦, ䷌) (1) | 2023.03.20 |
[동파역전] 11. 태괘(泰卦, ䷊) (1) | 2023.03.18 |
[동파역전] 10. 리괘(履卦, ䷉) (0) | 2023.03.16 |
[동파역전] 9. 소축괘(小畜卦, ䷈) (1) | 2023.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