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편에 이어서,
2023.03.07 - [한때는 내 전공이었던 것들/동파역전 정리] - [동파역전] 1. 건괘(乾卦, ䷀)
2023.03.07 - [한때는 내 전공이었던 것들/동파역전 정리] - [동파역전] 2. 곤괘(坤卦, ䷁)
2023.03.07 - [한때는 내 전공이었던 것들/동파역전 정리] - [동파역전] 3. 둔괘(屯卦, ䷂)
2023.03.08 - [한때는 내 전공이었던 것들/동파역전 정리] - [동파역전] 4. 몽괘(蒙卦, ䷃)
需, 有孚, 光亨. 貞吉. 彖曰, “需, 須也, 險 在前也. 剛健而不陷. 其義不困窮矣. ‘需有孚光亨貞吉,’ 位乎天位, 以正中也.
謂九五也. 乾之欲進, 凡爲坎者皆不樂也. 是故四與之抗傷而後避, 上六知不可抗而敬以求免. 夫敬以求免, 猶有疑也. 物之不相疑者, 亦不以敬相攝矣. 至於五則不然, 知乾之不吾害, 知己之足以御之, 是以內之而不疑. 故曰‘有孚光亨貞吉,’ 光者物之神也, 蓋出於形器之表矣. 故易凡言光, 光大者. 皆其見遠, 知大者也. 其言未光, 未光大者, 則隘且陋矣.
구오효를 말한다. 건은 나아가려는데 감괘의 효가 모두 좋아하지 않는다. 이런 까닭에 육사효는 저항하다 다친 뒤에 피하고, 상육효는 저항할 수 없음을 알고 공경스러운 태도로 용서를 구한다. 무릇 공경스러운 태도로 용서를 구하는 것도 아직 의심하고 있는 것이다. 서로 의심하지 않는 사물은 공경함으로써 서로를 포섭하지 않기 때문이다. 오효는 이들과 달리 건이 나를 해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자기가 충분히 그것을 제어할 수 있음을 알기 때문에 받아들이고 의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믿음이 있으니 빛나게 성장한다. 올바르면 길하다’고 말한다. 빛남은 사물의 신묘함으로서, 대개 형체를 가진 기물의 표현에서 나오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역』에서 보통 빛난다고 말하는 것은 빛남이 큰 것이다. 멀리서 본다면 그것이 모두 크다는 것을 알게 된다. 아직 빛나지 않는다는 말은 아직 빛남이 크지 않다는 것이며, 막히고 좁다는 뜻이다.
利涉大川, 往有功也.”
見險而不廢其進, 斯有功也.
험난한 상황을 보고도 나아가는 것을 멈추지 않으니, 이에 공적이 있는 것이다.
象曰, “雲上於天需. 君子以飮食宴樂.”
乾之剛爲可畏也, 坎之險爲不可易也. 乾之於坎, 遠之則無咎, 近之則致寇; 坎之於乾, 敬之則吉, 抗之則傷, 二者皆莫能相懷也. 惟得廣大樂易之君子, 則可以兼懷而兩有之, 故曰‘飮食宴樂.’
건의 강함은 가히 두려워할 만한 것이고, 감의 험난함은 가히 바꿀 수 없는 것이다. 건이 감을 멀리하면 허물이 없지만, 감을 가까이하면 도적을 초래하게 되고, 감이 건을 공경하면 길하지만, 건에게 저항한다면 다치게 된다. 이 둘은 모두 서로를 편안하게 품을 수 없다. 오직 넓고 크고 즐겁고 쉬운 경지를 얻은 군자만이 두 가지를 함께 품어서 가질 수 있으므로 ‘먹고 마시며 잔치 즐긴다’고 말한다.
初九, 需於郊, 利用恒, 無咎. 象曰, “需于郊, 不犯難行也. ‘利用恒無咎,’ 未失常也.”
尙遠於坎, 故稱郊. 處下不忘進者, 乾之常也. 遠之不躁, 是爲不失常也.
아직은 감에서 멀리 있기 때문에 ‘교외’라고 말한다. 아래에 처하더라도 나아갈 것을 잊지 않는 것이 건의 항상됨이다. 멀더라도 게으르지 않고 가깝더라도 조급해 하지 않기 때문에 항상됨을 잃지 않는다.
九二, 需於沙. 小有言, 終吉. 象曰, “需於沙, 衍在中也. 雖小有言以吉終.”
衍, 廣衍也.
‘연’은 ‘넓고 평평하다’는 말이다.
九三, 需於泥. 致寇至. 象曰, “需於泥, 災在外也. 自我致寇, 敬愼不敗也.”
漸近則爲沙, 逼近則爲泥. 於沙則有言, 於泥則致寇, 坎之爲害如此. 然於其言也, 告之以終吉; 於其致寇也, 告之以敬愼不敗, 則乾以見險而不廢其進爲吉矣.
점차 가까워지면 모래톱이 되고, 아주 가까워지면 진흙탕이 된다. 모래톱에서는 말이 있고, 진흙탕에서는 도적을 부르니 감의 해로움이 이와 같다. 그러나 말이 있을 때는 끝내 길할 것임을 알려주고, 도적을 부를 때는 삼가고 조심하면 패하지 않을 것임을 알려주니, 건이 험난한 상황을 보고도 나아가는 것을 멈추지 않는다면 길할 것이다.
六四, 需於血. 出自穴. 象曰, “需於血, 順以聽也.”
需於血者, 抗之而傷也; 出自穴者, 不勝而避也.
피흘리며 기다린다는 말은 저항하다가 다친다는 뜻이고, 스스로 동굴에서 나온다는 말은 이기지 못하자 도망간다는 뜻이다.
九五, 需於酒食. 貞吉. 象曰, “酒食貞吉, 以中正也.”
敵至而不忌, 非有餘者不能. 夫以酒食爲需, 去備以相待者, 非二陰之所能辦也. 故九五以此待乾, 乾必心服而爲之用. 此所以正而獲吉也.
적이 이르렀는데도 꺼리지 않는 것은 여유 있는 자가 아니면 할 수 없는 것이다. 무릇 술과 음식을 먹으면서 기다리고, 방어하지 않으면서 접대하는 것은 두 음효가 갖출 수 없는 바이다. 그러므로 구오효가 이렇게 하여 건을 기다리면, 건은 반드시 마음으로 복종하여 구오효를 위해 활동한다. 이것이 바로 올바르게 길함을 얻으려는 까닭이다.
上六, 入於穴. 有不速之客三人來. 敬之, 終吉. 象曰, “不速之客來, 敬之終吉, 雖不當位, 未大失也.”
乾已克四而達於五矣, 其勢不可復抗. 故入穴以自固. 謂之不速之客者, 明非所願也. 以不願之意, 而固守以待之, 可得爲安乎? 其所以得免於咎者, 特以敬之而已. 故不如五之當位, 而猶愈於四之大失也.
건이 이미 사효를 이기고 오효에 도달하였으므로 더이상 그 세력에 저항하지 못한다. 때문에 동굴에 들어가 자신을 지킨다. 초청하지 않은 손님이라고 말한 것은 원하는 바가 아님을 밝힌 것이다. 원하지 않는 뜻을 가지고 지키면서 기다리니 어찌 편안할 수 있겠는가? 상육효가 허물을 면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건을 공경하는 것뿐이다. 그러므로 오효가 마땅한 위치에 처한 것보다는 못하지만, 사효가 크게 잃는 것보다는 낫다.
'자료 모음 > 동파역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파역전] 7. 사괘(師卦, ䷆) (1) | 2023.03.09 |
---|---|
[동파역전] 6. 송괘(訟卦, ䷅) (1) | 2023.03.09 |
[동파역전] 4. 몽괘(蒙卦, ䷃) (0) | 2023.03.08 |
[동파역전] 3. 둔괘(屯卦, ䷂) (0) | 2023.03.07 |
[동파역전] 2. 곤괘(坤卦, ䷁) (0) | 2023.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