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어 공부하기/저장소

🇫🇷 “a lô”부터 “sếp”까지? 베트남어에 남은 프랑스어의 흔적들

베트남10선비 2025. 4. 13. 03:35
728x90
반응형

🇫🇷 베트남어 속 프랑스어의 흔적

📚 "từ mượn tiếng Pháp"의 세계


침착맨의 정일영 선생님 이야기를 듣다가 문득 떠오른 주제.
📌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온 베트남어는 특히 프랑스어에서 빌려온 단어(từ mượn)가 풍부하다.
사실 중국의 영향을 제일 많이 받기는 했지만, 고대부터 한자의 영향을 오랫동안 받았기 때문에 이를 '외래어'라고 솎아내기도 애매해서, 그것을 제외하면 프랑스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고 할 수 있다.


📖 từ mượn이란?

  • từ mượn = 빌려온 단어 → 외래어
  • 예시: từ tiếng Việt mượn tiếng Pháp
    →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베트남어 단어

☕ 프랑스어 유래 베트남어 대표 단어

지금부터는 일상에서도 자주 보이는,
프랑스어 유래의 베트남어 단어들을 소개해보려 한다.

자주 보이는데 여기에는 없네? 하는 단어는, 그냥 내가 기억이 안 난 것일 뿐.
 

a lô

  • 프랑스어 : allô
  • 전화 상에서 '여보세요?'하는 말.
  • 대표적으로 잘 알려진 프랑스어 유래 베트남 단어이다.
  • 베트남 대표 메신저인 'zalo'도 zing이라는 회사의 명칭과 a lô의 합성어에서 나온 말이다.

 

amidan

  • 프랑스어 : amygdale
  • 편도선을 의미하는 단어.
  • 편도선염, 편도선이 부었다 이런 이야기를 꽤 하기 때문에 자주 듣는 단어이다.

 

atisô

  • 프랑스어 : artichaut
  • 국화과 식물인 아티초크를 뜻한다.

 

ba lô

  • 프랑스어 : ballot
  • Backpack을 뜻하는 단어.
  • 가방을 지칭하는 단어들이 여러 종류이니, backpack 형태의 가방에만 쓴다는 걸 알아야 한다.

 

bida

  • 프랑스어 : billard
  • 당구를 뜻하는 단어.
  • 요즘은 영어식으로 billiards고 쓰는 당구장들도 많아졌지만, 영어 아니고 프랑스어에 유래한 단어이다. 외래어다보니 bida, bi da, bi-da 등 다양한 폼으로 사용한다.

 

búp bê

  • 프랑스어 : poupée
  • 인형을 뜻하는 단어.
  • 정확히는 바비 인형 류의 인형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테디베어 류의 인형은 gấu bông을 사용한다.

 

ca

  • 프랑스어 : cas
  • 사례, 케이스 등을 뜻하는 단어. 영어로 case에 해당.
  • 코로나 유행하던 시기에 뉴스 기사에 제일 많이 보이던 단어 중 하나이다.

 

ca nô

  • 프랑스어 : canot
  • 손님을 실어 나르는 고속선(tàu chở khách cao tốc)을 의미.
  • 프랑스어 canot은 내가 알기론, 우리가 아는 '카누(canoe)'인 걸로 아는데, 베트남어의 ca nô는 아래의 선박처럼 손님들을 태우고 다니는 고속정이다. 아래 사진의 배보다 조금 더 큰 형태여도 마찬가지이다.

 

cà phê

  • 프랑스어 : café
  • 커피를 뜻하는 단어.
  • 너무 잘 알려진 단어이고 제일 많이 접하는 단어이다. 기본적으로 커피 묘목을 베트남으로 가져와 정착시킨 게 프랑스인이었으니.

 

cà rốt

  • 프랑스어 : carotte
  • 당근을 뜻하는 단어.
  • 한국인은 영어가 익숙하다 보니, 베트남어 단어 중 영어 발음과 비슷한 단어들이 있으면 그게 영어에서 유래되었다는 말을 서슴없이 하곤 하지만... 프랑스어에 비슷한 단어가 있다면 무조건 프랑스어 유래라고 보는 게 맞다.
  • 간혹 이 단어를, 북부 발음 남부 발음 차이 어쩌고 하면서 '까좃'이라고 발음하는 사람들이 있던데... 이 단어는 프랑스어를 chữ Quốc Ngữ를 사용해 쓴 것일 뿐이다. 한글을 이용해 외국어 발음을 기록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cao su

  • 프랑스어 : caoutchouc
  • 고무를 뜻하는 단어.
  • 라텍스를 뜻하는 nệm cao su thiên nhiên이라든가, 고무줄을 뜻하는 dây cao su 등 다양한 곳에서 이 단어를 볼 수 있다.

 

cà vạt

  • 프랑스어 : cravate
  • 넥타이를 뜻하는 단어.

 

căng tin

  • 프랑스어 : cantine
  • 구내식당, 카페테리아 등을 뜻하는 단어.
  • 이 단어 역시도 영어에 canteen이라는 단어가 있다고 해서 영어 유래의 단어가 아니다.

 

drap

  • 프랑스어 : drap
  • 침대커버를 의미하는 단어.
  • 이 단어는 아예 프랑스어를 그대로 가져와서 사용한다. 베트남어에도 침대보, 침대커버를 뜻하는 trải giường이라는 단어가 있지만 이 단어를 사용하는 빈도가 더 높은 듯하다. 간혹 이 단어의 의미를 뚜렷하게 하기 위해 drap trải giường 이라는 식으로 쓰기도 한다.
  • 침대커버, 이불, 베개커버 등 침구세트를 간단하게 bộ drap이라고 쓰기도 한다.

 

bánh flan

  • 프랑스어 : flan
  • 카라멜 커스터드 푸딩을 뜻하는 단어
  • 그냥 flan이라고도 쓰지만, 대체로 bánh flan이라고 쓴다. 그냥 먹기보다는 밀크티에 넣어 먹는 걸 더 많이 본 듯하다.

 

(nhà) ga

  • 프랑스어 : gare
  • 기차역을 뜻하는 단어.
  • 기차가 프랑스에 의해 들어왔으니 이 단어가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다는 게 놀라운 일은 아닐 듯하다.


ga lăng

  • 프랑스어 : galant
  • '젠틀한' 정도로 번역할 수 있는 단어.
  • 프랑스어의 단어는 남자가 여자에게 젠틀하게 대하고, 잘해주고, 꼬시려고 하고... 뭐 이런 의미인데 베트남에서도 그런 느낌으로 사용하는 단어이다.

 

găng tay

  • 프랑스어 : gant
  • '장갑'을 의미하는 단어.
  • 보통 프랑스어만 써서 의미가 와닿지 않는 단어들은 베트남어로 그 의미를 보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bánh flan이라고 쓰는 것도 그런 형태라고 보면 될 듯하다. 대체로 의복과 관련된 단어들이 이런 식으로 합성되어 있다.


giăm bông / dăm bông

  • 프랑스어 : jambon
  • '햄'을 의미하는 단어.
  • 외래어기 때문에 giăm bông, dăm bông 둘다 사용하며 심지어 jam bông 등으로 쓰기도 한다.


gôm tẩy

  • 프랑스어 : gomme
  • '지우개'를 뜻하는 단어.
  • gomme이 지우개 외에도 고무를 뜻하기도 해서, 베트남에서도 gôm이라는 단어가 고무 제품에 종종 보인다.
  • 지우개는 지칭하는 단어가 많은데, 개인적으로는 cục tẩy를 많이 사용한다.


gu

  • 프랑스어 : goût
  • '입맛, 취향' 등을 뜻하는 말.
  • 워낙 많이 쓰이는 말이라 cà phê, a lô처럼 프랑스어 유래라는 건 널리 알려진 사실.

 

kem

  • 프랑스어 : crème
  • '크림'을 뜻하는 단어.
  • 먹는 크림, 바르는 크림은 물론, 아이스크림에도 사용.

 
lê ghim

  • 프랑스어 : légume
  • '야채'를 뜻하는 단어.
  • 보통 rau củ 같은 단어를 쓰지 이 단어를 쓰는 경우가 많지는 않다. 그러나 종종 시장 같은 데에 써있는 것을 볼 수 있다.

 
nui

  • 프랑스어 : nouille
  • '이탈리아식 면'을 의미.
  • Nui xào bò 같이 보편적인 메뉴가 존재함.
  • 프랑스어와 달리, 이탈리아 숏 파스타 종류의 면을 지칭할 때 사용한다.
  • 보통은 마카로니지만 펜네, 푸실리, 파르펠레, 리가토니 등에도 사용하는 걸 보았다.

 

pa-tê / ba tê

  • 프랑스어 : pâté
  • '파테'를 의미하는 단어.
  • 베트남어에서 p는 사용되지 않지만, 이렇게 외래어에는 종종 사용한다. 그럴 때 발음은 'b'와 동일하기 때문에 p를 b로 바꾸어 쓰는 경우도 종종 있다.
  • 프랑스 식문화의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식품.

 

pê đê / bê đê

  • 프랑스어 : pédé
  • '게이', '남색가', '호모' 등을 의미하는 단어.
  • 이 단어는 보통 bê đê를 더 많이 사용하는 듯하다.

 

pin

  • 프랑스어 : pile
  • '전지', '배터리' 등을 의미.

 

phim

  • 프랑스어 : film
  • '영화'를 뜻하는 단어.

 

sếp

  • 프랑스어 : chef
  • '상사', '부서장', '책임자' 등을 뜻하는 단어.
  • 모든 직장인이 제일 많이 쓰고, 제일 많이 듣는 단어.

 

sốc

  • 프랑스어 : choc
  • '충격받다', '쇼크' 등을 의미하는 단어.
  • 영어의 shock를 생각하기 쉽지만, 역시나 프랑스어에서 온 단어이다.

 

sô-cô-la

  • 프랑스어 : chocolat
  • '초콜릿'을 의미.
  • 대표적인 프랑스어 유래 단어.

 

su kem

  • 프랑스어 : chou à la crème
  • '슈크림'을 뜻하는 단어.
  • 조어의 방식은 한국이랑 비슷하다.
  • chou는 양배추를 뜻하는 단어인데, 빵의 모양이 양배추 같다는 데서 만들어진 단어이다.
  • 그러나 베트남에는 우리가 아는 형태의 빵보다는 에클레어 형태에 커스타드 크림을 채운 것을 bánh su kem으로 쓰는 경우가 더 많다.

 

súp lơ

  • 프랑스어 : chou-fleur
  • '콜리플라워'를 뜻하는 단어.
  • 정확히는 súp lơ와 bông cải가 구분되어야 맞지만, 혼용해서 사용한다. 그래서 브로콜리를 súp lơ xanh, bông cải xanh, 콜리플라워를 súp lơ trắng, bông cải trắng으로 나눠 쓰기도 한다. 둘 다 어차피 십자화과[họ Cải]에 속하기 때문.
  • 그래도 기본적으로 súp lơ만 쓰면 콜리플라워.

 

su hào

  • 프랑스어 : chou-rave
  • '콜라비'를 뜻하는 단어.
  • 독일어 '콜라비'와 똑같이, 프랑스어도 '양배추 + 순무'의 합성어임. 

 

(áo) sơ mi

  • 프랑스어 : chemise
  • '와이셔츠'를 의미.
  • 이 역시도 'áo[상의]'라는 점을 표현하기 위해 áo sơ mi라고 쓰는 게 보통. 

 

xúc xích

  • 프랑스어 : saucisse
  • '소시지'를 의미하는 단어.

 

xà bông / xà phòng

  • 프랑스어 : savon
  • '비누'를 의미.
  • 프랑스어 발음을 들리는 대로 옮겨서 쓴 것이라, bông, phòng 등으로 나뉜 것.

 

xi nhan

  • 프랑스어 : signal
  • '신호'를 의미.
  • 주로 자동차 깜빡이에 사용함.

 

xi rô

  • 프랑스어 : sirop
  • '시럽'을 의미.

 

(đồng/tiền) xu

  • 프랑스어 : sou
  • '동전', '금속화폐'를 의미.
  • 베트남어에서 동전은 đồng xu, tiền xu 등으로 쓴다. đồng tiền이 화폐를 의미하는 단어 '銅錢'에서 나온 단어이다.
  • 프랑스 이전에 봉건 베트남에서는 xu라는 단어는 없었다. 화폐란 기본적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단위인 văn, mạch(bách), mân, cưỡng, quán 등만 존재했다.
  • 그러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수립 이후 화폐 개혁이 이루어지고 지폐로 이루어진 단위가 등장하면서 금속으로 이루어진 화폐는 'xu'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 베트남에 아주 짧게 유행했던 '동전빵'을 bánh đồng xu라고 쓴다.

 

va li

  • 프랑스어 : valise
  • '여행용 가방', '트렁크'를 의미.

 

(áo) vét/vest

  • 프랑스어 : veste
  • '정장 재킷'을 의미함.
  • 이건 처음에 프랑스어에서 왔으나, 최근에는 영어식으로 áo vest라고 쓰는 경우가 다수이다.

 

(rượu) vang

  • 프랑스어 : vin
  • '와인'을 의미.
  • 와인이 베트남에 오게 된 계기 자체가 프랑스 때문이니 당연히 프랑스어에서 나올 수밖에 없음.

 

quần soóc

  • 프랑스어 : short
  • '반바지'를 의미.
  • 쓰기 힘들어서 sooc이라고 성조 없이 쓰기도 하며, 보통 quần short라고 쓴다.
  • soóc이 영어의 short에서 나오고, quần이 바지여서 짧은 바지 즉 반바지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 그러나 정확하게 하면 프랑스어 short가 그냥 반바지를 의미하는 단어이고 이 단어가 '하의'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quần을 사용한 것이다.

 

원래는 이렇게 soóc만 써도 명사로 반바지를 의미한다. 


🧩 언어 속 문화 흔적

프랑스의 영향은 단순히 단어에 그치지 않고, 음식 문화·행정 체계·교육 용어 전반에 스며들어 있다.
예: cà phê, bánh mì, pa-tê 등은 프랑스 식민 시기 도입된 식문화의 대표적인 잔재.


🧠 정리하며

베트남어의 프랑스어 유래 단어들은 단순한 어휘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그 안에는 식민지 역사, 문화 교류, 언어의 진화가 고스란히 녹아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