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소식&정보

트럼프의 상호관세, 베트남은 살아남았나?

베트남10선비 2025. 4. 10. 05:34
728x90
반응형

📉 46%에서 10%로? 베트남, '트럼프 상호관세' 전장에서 살아남은 걸까?

🕔 베트남 시각으로 날짜 변경되던 무렵, 네이버 블로그 포스팅을 하던 중 트럼프 대통령의 트루스 소셜 글이 올라왔다는 소식을 듣고 곧장 확인했다.

 

이번에도 역시 눈에 띈 건 중국에 대한 125% 관세 자체보다도, "75개국 이상에 대해 90일간 유예한다"는 내용이었다.
이 말은 곧, 중국을 겨냥한 정책을 다른 국가에도 일괄 적용했다가, 줄 선 사람들 다 확인했으니 예외적으로 빼주겠다는 메시지로 보인다.

 

이 75개국이라는 표현이 정확히 뭐를 의미하는지 몰라서, 리스트 업데이트까지 한참을 기다렸는데도

마무리하고 취침하려는 시점까지 보이지 않아서, 중간 정리 겸으로 포스팅을 올리려고 한다.


📎 관련 포스팅 복습

이미 관세 공식 자체가 중국을 포인트로 만들어진 것이며, 이를 세계에 일괄 적용한 것이라는 이야기는 다른 포스팅에서 언급한 바 있다.

 

📌 46% 관세의 진짜 의미는? 베트남을 향한 미국의 전략적 질문

📌 👑 “0% 관세”는 덫이었다? 트럼프가 베트남을 향해 건 심리전


🇻🇳 베트남은 '가장 먼저 달려간 나라'

이번 상호관세 정책은 중국 견제를 목표로 한 전방위적 압박이었고,
그 유탄(인지 직격탄인지 아직도 모르겠지만 아무튼)을 맞은 나라 중 하나가 바로 베트남이었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에 따르면 베트남이 이 사태에 가장 먼저 대응했다.
트루스 소셜에서도 "베트남공산당 총비서 Tô Lâm이 관세 0%를 제안했다"고 직접 밝힌 바 있다.

이는 단순한 외교 협상 내용의 공개가 아니라,
'내가 이렇게 베트남에게 제안 받았는데, 너희는 어떻게 할래?'
라는 형식의 국제적 줄세우기 시그널로 작용했다고 보았다.


🗂️ 베트남, 90일 유예 명단에 포함됐나?

글을 마무리하는 시점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75개국" 리스트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 RFA 보도에 따르면 베트남은 10% 관세 적용을 받는다고 한다:

 

▶️ Mỹ hạ thuế cho Việt Nam từ 46% xuống 10%

“이번 조치는 호찌민시 당국조차 상정하지 못한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를 넘어서는 결과였다.”

👉 원래 호찌밍시 당국에서는 15%로 낮추는 것이 최선의 시나리오라고 보고 있었는데, 이를 넘어서 10%의 명단에 포함되었다는 것이다.

 

이로 보아 베트남은 75개국 이상의 유예 대상에 포함된 것이 맞는 듯하다.


🧠 그럼 왜 베트남은 포함됐을까?

이는 베트남이 대미 협상에서 최소한의 진정성을 보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베트남은 이미 3월의 USTR와의 협상에서 실패한 전례가 있었기에,
이번만큼은 적극적으로 나섰고, 그 결과 미국 측에서 '협상 의지'를 인정한 것으로 보인다.


🧭 앞으로 90일, 베트남이 집중해야 할 방향

📌 1. 미·중 간 디커플링 전선에서 제대로 진영 정하기

— 이 시기는 단순한 유예가 아니라, 선택의 유예이기도 하다.

— 90일 동안 미-중이 치고 받고 있는 와중에도, 현재와 같은 애매한 태도를 유지하면 90일 이후 똑같은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 2. 중국 대체 기지로서 준비 제대로 하기

— 지금은 매우 좋은 기회이다. 오래전 '세계의 공장' 타이틀을 가져올 수도 있었던 기회를 한 번 놓친 바 있기에, 이번이 다시 찾아온 좋은 기회이다.

그러나 또다시 중국에게 이름을 빌려주는 수준에 머문다면, 더이상 기회는 찾아오지 않을 수도 있다.


📌 정리하며

트럼프의 상호관세는 단순한 무역 이슈가 아니다.
그 이면에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 안보 기반 경제전략, 그리고 지정학적 진영 정리가 숨어 있다.

베트남은 우선 살아남았다고 보는 게 맞을 것 같다.
하지만 이 90일은 '명단에 들었으니 끝!'이 아니라,
이제부터 진짜 시험이 시작된 것일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