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소식&정보

[요지경 베트남] 티베트 고승, 베트남에서 의문사|중국-베트남의 침묵이 말하는 것

베트남10선비 2025. 4. 9. 23:21
728x90
반응형

 

 

 

https://www.rfa.org/vietnamese/trong-nuoc/2025/04/08/tay-tang-cao-tang-chet-viet-nam/

 

Cao tăng Tây Tạng chết khi đang bị giam giữ ở Việt Nam

Chính quyền Việt Nam và Trung Quốc bị cáo buộc đã phối hợp bắt giữ và giam vị cao tăng này cho đến khi ông qua đời.

www.rfa.org

 

 

티베트 망명 정부는 4월 8일, 고승 툴쿠 훙카 도르제(Tulku Hungkar Dorje)의 사망 소식을 전하는 공식 성명을 발표했다.

툴쿠 훙카 도르제는 유명한 교육자이자 Lung Ngon 사원의 주지였던 인물로, 1969년생이다. 그는 2025년 3월 29일 호찌민시에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 사실은 4월 3일이 되어서야 보도되었다.

티베트의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툴쿠 훙카 도르제가 주지로 있던 Lung Ngon 사원의 승려 7명을 불러 그의 사망 사실을 통보했다고 한다.

 

티베트 망명 정부는, 툴쿠 훙카 도르제가 2024년 9월 중국 정부의 탄압을 피하기 위해 베트남으로 왔다고 밝혔다. 그러나 2025년 3월, 호찌밍시 자택에서 베트남과 중국 공안의 공조에 의해 체포되었고, 그로부터 3주 뒤 사망한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 측은 그의 사망 원인을 공개하지 않았으며, 베트남 당국과 언론도 현재까지 이 사건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습니다.

 

불교에서 “툴쿠(Tulku)”는 환생한 인물을 의미하며, 툴쿠 훙카 도르제는 2024년 7월 21일 대중 법문을 마친 이후 실종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실종 이후, 중국 관리들은 Lung Ngon 사원의 승려들과 티베트 지역 주민들에게 엄격한 통제를 가했으며, 그의 실종 사건에 대한 공공 토론을 금지하고, 그의 설법이 담긴 음성 및 영상 자료의 공유도 금지했다.

 

승려들이 그의 사망 소식을 통보받았을 때, 중국 당국은 사망 사실을 인정하는 문서에 서명을 강요했지만 시신의 행방이나 실종된 몇 달 동안의 행적에 대해서는 아무런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다고 한다.

 

티베트인들은 소셜미디어에 고인의 죽음을 애도하며, 티베트 문화를 보존하고 수천 명의 빈곤층을 지원했으며, 티베트에 사립학교를 설립하는 등 툴쿠 훙카 도르제가 남긴 업적을 추모하는 감동적인 글들을 남기고 있다.


🧭 1. 툴쿠 훙카 도르제는 누구이며, 왜 베트남으로 갔는가?

툴쿠는 티베트 불교 전통에서 “환생한 스승”을 뜻하는 존칭이다. 툴쿠 훙카 도르제는 티베트 내에서 매우 존경받는 인물로, 단순한 주지스님이 아니라 교육자, 사회운동가, 문화 수호자 역할까지 해왔다.

  • 그는 사립학교 설립, 문화 보존, 빈곤층 지원 활동을 통해 중국 당국의 시선을 끌었으며,
  • 특히 중국의 티베트동화 정책(문화 말살)에 소극적으로나마 저항한 인물로 간주되었다.

📌 2024년 7월 이후 실종되었다가 9월에는 베트남에 있는 것으로 나타난 점을 볼 때, 중국의 압박을 피해 베트남으로 비공식 망명 혹은 피신한 것으로 보인다.


🩸 2. 왜 체포되었을까? – 종교 vs 정치의 경계

중국 당국은 티베트 불교를 단순한 종교로 보지 않는다는 점이 제일 크게 작용했을 것이다.

  • 라마승들의 종교 권위와 대중 영향력은 곧 정치적 불안 요소로 간주됨.
  • 툴쿠 훙카 도르제 같은 인물은 비폭력적이더라도 상징적인 독립의식을 지지한다고 의심받을 수 있음.

그가 베트남에 체류 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베트남과 중국 공안의 공조 체포가 이뤄졌다는 사실은 정치적 망명자 혹은 사상 위험 인물로 분류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그의 죽음이 체포 3주 후, 공식 사망 원인 없이 발표된 점이 주목된다. 양국 모두 그에 대한 설명을 피하고 있다. 그의 시신은 어디에 있는가? 어떤 사인인가? 누가 책임지는가?


🇻🇳🇨🇳 3. 베트남-중국 관계에서 드러난 민감한 균형

이번 사건은 베트남과 중국 사이의 비공식 협력 및 압력 구조를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 베트남은 표면적으로는 독립적이지만, 중국과의 관계에서 경제·정치적으로 의존하는 측면이 크다.
  • 특히 최근 미-중 간 패권 경쟁이 격화되면서, 베트남은 대나무 외교라는 균형 외교 전략을 추구해 왔다.

이 사건은 결국 다음과 같은 추측을 하게 만든다:

 

<🇻🇳 베트남의 선택과 딜레마>
티베트 고승 체포를 위해 중국에 협조 중국에 대한 외교적 태도를 드러냄
언론과 정부의 침묵 국제사회 비난 회피, 민감 사안 축소(전략적 회피)
Starlink, C-130 허가, 미국과 군사 협력 병행 시도 외부엔 ‘자율성’을 강조하는 모습. 하지만 내부엔 ‘정권 생존’ 우선

🧵 4. 인권 및 국제 사회에 미칠 반향

  • 이번 사건은 종교의 자유, 표현의 자유, 인권 보호 측면에서 심각한 우려를 낳을 수 있다.
  • 특히 이 시건은 중국의 영향력이 베트남 내 인권 사안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라는 점. '중국식 세계관'과 '권위주의'가 베트남까지 깊게 드리워있다는 점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 티베트 망명정부는 이 사안을 국제화하려 시도할 수 있고, 서구 인권단체들 역시 중국-베트남 간 비공식 송환 및 공조 구조를 문제 삼을 수 있다.

🧩 결론: 단순한 사망이 아닌 복합적 메시지

툴쿠 훙카 도르제의 사망은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던집니다:

  1. 중국의 티베트 통제는 국경을 넘어서 인근 국가에서도 작동한다.
  2. 베트남은 미국과 협력하려 하지만, 중국의 핵심 이익에는 저항하지 못한다.
  3. 아시아 내 인권 및 종교 자유는 여전히 매우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