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냐짱의 태평양대학교 관련 기사를 읽다가,
냐짱에 있는 Trường đại học을 네이버 블로그에 정리를 해보기로 했다.
그리고 정리를 하다 보니
베트남의 학제에 관련된 부분을 먼저 포스팅을 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국민교육체계[Hệ thống giáo dục quốc dân]
베트남의 국가 교육 제도를 가리키는 용어는 'Hệ thống giáo dục quốc dân',
번역을 해보자면 '국민교육체계'가 적당할 듯하다.
이 체계는 학급이나 교육 수준에 따라 총 4가지로 구분이 된다.
1) 유아교육[Giáo dục mầm non]
2) 보통교육[Giáo dục phổ thông]
3) 직업교육[Giáo dục nghề nghiệp]
4) 대학교육[Giáo dục đại học]
1. Giáo dục mầm non
우리나라의 유아 교육에 해당하는 것이 giáo dục mầm non이다.
한국어 번역도 '유아 교육'이라고 하면 될 듯하다.
유아 교육을 수행하는 기관은
Nhà trẻ / Mẫu giáo / Trường mầm non
이렇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우리나라도 보육원, 어린이집, 유치원이라는 용어가 각기 구분되는 것처럼.
<1> Nhà trẻ
흠... 한국어로 '어린이집'이나 '보육원'에 가깝게 번역할 수 있을 듯하다.
개인적으로는 베트남어 어감을 살린다면 '어린이집'이 더 나은 것 같다.
3개월~36개월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며,
법적으로 각 월령 그룹당 인원 수가 제한되어 있다.
- 3개월~12개월 : 15명
- 13개월~24개월 : 20명
- 25개월~36개월 : 25명
주로 아이를 맡길 곳이 없는 맞벌이 부부들이 아이의 보호, 보육을 위해 아이를 맡기는 공간으로
정해진 교육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이 딱히 없다.
오히려 여유가 있는 집은 보육 교사를 개인적으로 고용해 집으로 부른다.
<2> Mẫu giáo
한국의 '유치원' 개념에 가까운 시설이다.
3세에서 6세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며,
역시 법적으로 각 연령 그룹당 인원 수가 제한이 되어 있다.
- 3~4세 반 : 25명
- 4~5세 반 : 30명
- 5~6세 반 : 35명
Nhà trẻ와 달리 정해진 시간표와 학습 프로그램 등이 존재한다.
<3> Trường mầm non
유아 교육에 해당하는 연령 범위는 nhà trẻ와 mẫu giáo가 전부 커버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trường mầm non이라는 기관이 또 존재한다.
이 기관은 nhà trẻ와 mẫu giáo를 결합한 기관이다.
nhà trẻ에 해당하는 월령의 반과 mẫu giáo에 해당하는 연령의 반을 전부 운영하며
시간표, 학습 프로그램 등이 존재한다.
교육 시설의 구분
아이를 시설에 보내기 위해 리스트를 쭉 찾다 보면
시설 정보에 제일 먼저 표기되는 것이 바로 '구분'이다.
기본적으로 모든 교육기관은 '운영 주체'에 따라 구분을 하지만
trường mầm non의 경우는 '언어 교육'에 따른 구분도 한다.
운영 주체에 따른 구분
<1> Công lập
'공립'에 해당하는 교육 시설로, '국가 기관'으로 분류된 기관에서 설립하고 운영하는 것을 칭한다.
<2> Tư thục
'사립'에 해당하는 교육 시설을 의미하며, 국내와 외국의 투자자들에 의해 운영되는 것이다.
<3> Dân lập
해당 지역 단위, 이를테면 xã, ấp, buôn, làng, sóc, phường, thị trấn급의 지역공동체에 속한 조직이나 개인이 인프라를 구축하고 투자, 운영하는 것이다.
2006년 이전에는 모든 교육 시설에 dân lập이 가능했으나, 현재는 유아교육시설에만 가능하다.
<4> Bán công
2006년에 교육법이 개정되면서, 공식적으론 사라진 방식이다.
'반공립'을 의미하는 단어로, 설립 주체는 민간이지만 국가의 보조를 받는 형태인데
법률적으로 해당 구분이 사라지면서 현재는 국가의 지원과 보조는 하나도 못 받지만,
책임과 의무는 민간이 떠맡는 기이한 교육 시설이 되었다.
현재는 점차 다른 형태(주로 공립)으로 전환중이며, 2025년 6월 30일 이전까지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언어 교육에 따른 구분
<1> Song ngữ
'이중 언어'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이다.
보통 '베트남어+영어'이다.
<2> Quốc tế
거의 100% '영어'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기관은 'quốc tế'를 표기한다.
해외의 투자 혹은 연계 등으로 운영이 된다.
만약 이런 표시가 없다면 '베트남어'로만 교육이 이루어진다.
2. Giáo dục phổ thông
우리나라의 초·중등교육(초-중-고)에 해당하는 교육이 'giáo dục phổ thông', '보통 교육'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6-3-3의 학제를 따르고 있으나
베트남은 5-4-3의 학제로 운영하고 있다.
각 단위의 명칭은 Tiểu học, Trung học cơ sở, Trung học phổ thông이다.
올해로 전 학년 적용이 완료된 '2018 보통교육 프로그램[Chương trình giáo dục phổ thông 2018]'에 따르면,
Tiểu học, Trung học cơ sở는 기본교육단계[Giai đoạn giáo dục cơ bản],
Trung học phổ thông은 진로탐색교육단계[Giai đoạn giáo dục định hướng nghề nghiệp]로 구분된다.
Tiểu học
약칭으로 cấp 1이라 쓰기도 하며, 한국의 '초등학교' 단계에 해당한다.
1학년[Lớp 1]부터 5학년[Lớp 5]까지 있으며,
1학년 입학은 6세에 이루어진다.
<교과목>
'2018 보통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초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필수 교과목은 다음과 같다.
- Tiếng Việt : 베트남어, 한국처럼 '국어'라는 이름이 붙지 않는 것은 각 소수민족들의 언어가 있기 때문. 1~5학년 대상
- Toán : 수학. 1~5학년 대상
- Đạo đức : 도덕. 1~5학년 대상
- Ngoại ngữ 1 : 제1외국어. 3~5학년 대상
- Tự nhiên và xã hội : 자연과 사회. 1~3학년 대상
- Khoa học : 과학. 4~5학년 대상
- Lịch sử và địa lí : 역사와 지리. 4~5학년 대상
- Tin học và công nghệ : 컴퓨터와 기술. 3~5학년 대상
- Giáo dục thể chất :체질교육. '체육'을 의미함. 1~5학년 대상
- Nghệ thuật : 예술. 미술과 음악 교과를 결합한 교과. 1~5학년 대상
- Hoạt động trải nghiệm : 체험활동. 각 지역에 맞게 구성할 수 있음. 1~5학년 대상
이외에도, 각 학교에서는 필요에 따라 다음의 선택교과목을 개설할 수 있다. 선택교과목의 차시는 필수교과목 차시에 포함되지 않는다.
- Tiếng dân tộc thiểu số : 소수민족언어. 1~5학년 대상
- Ngoại ngữ 1 : 필수인 제1외국어를 1~2학년에도 편성할 수 있음.
입학 시즌
각 학교 새로운 학년이 시작되는, 입학 시즌은 베트남에서는 9월이다.
여러 나라에서 9월에 새로운 학년이 시작되지만,
베트남은 그런 추세와는 좀 다른 이유로 9월에 입학 시즌이 진행된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베트남의 입학, 새 학년의 시작은 '9월 5일'이라는 구체적인 날짜가 기준이 된다.
베트남의 국부, '호 아저씨' 호찌밍 주석과 관련이 있다.
바딩 광장에서 독립선언문 낭독이 있은 3일 후인 9월 5일, 호찌밍 주석은 '학생들에게 보내는 편지'라는 글을 발표를 하여 전국의 학생들을 독려한다. 그래서 이 날짜가 교육계에서는 매우 중요한 날짜가 되었다.
그리고 '베트남민주공화국' 최초의 개학일이 9월 5일이 되면서, 이 날짜를 기준점으로 삼게 되었다.
9월 5일에 lễ khai giảng năm học mới를 진행하고 바로 수업을 진행하기도 하지만,
각 지역에 따라서 약간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를테면 lễ khai giảng을 9월 5일보다 며칠 더 빨리 진행을 하고 정식 수업을 9월 5일부터 진행하는 식.
9월 5일이 주말인 경우는 lễ khai giảng을 9월 5일에 진행하여 식만 치르고 귀가한 후, 월요일부터 학교에 나와 수업을 하는 식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의무 교육
베트남의 의무 교육은 중학교[Trung học cơ sở]까지라고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정확하게 말하면 '아니다'.
의무 교육, giáo dục bắt buộc은 교육법[Luật giáo dục]에 'trường tiểu học'이라고만 명시되어 있다.
그런데 왜 의무 교육이 trung học cơ sở까지로 알려진 것일까?
그 이유는 '교육 보급[Phổ cập giáo dục]'의 대상이기 때문이다.
이것도 법률적 용어인데, 의무적으로 하는 건 아니지만 최대한 교육을 시키도록 정책적으로 유도(라고 쓰고 강제)하는 것이다.
phổ cập giáo dục의 대상은 '5세의 유치원 교육'과 '중학교 교육'이다.
전부 찾아본 건 아니지만, 각 지역 단위별로 일정 보급률을 유지해야 하는 정책적인 무언가가 있는 모양이다.
그런데 성[Tỉnh]급 단위는 거의 99%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의무교육인 셈.
이럴 거면 왜 의무 교육으로 수정을 안 하는 걸까 생각을 해봤는데,
아무래도 '비용의 문제'가 걸리는 게 아닐까.
Trung học cơ sở
약칭으로 cấp 2라 쓰거나 THCS라 쓰며, 한국의 '중학교'에 해당한다.
6학년[Lớp 6]부터 9학년[Lớp 9]까지이며,
6학년 입학 나이는 11세이다.
<교과목>
'2018 보통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중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필수 교과목은 다음과 같다.
- Ngữ văn : 어문(語文)
- Toán : 수학
- Ngoại ngữ 1 : 제1외국어
- Giáo dục công dân : 공민교육
- Lịch sử và địa lí : 역사와 지리
- Khoa học tự nhiên : 자연과학
- Công nghệ : 기술
- Tin học : 컴퓨터
- Giáo dục thể chất : 체질교육. '체육'을 의미
- Nghệ thuật : 예술. 미술과 음악을 결합한 교과
- Hoạt động trải nghiệm : 체험활동. 각 지역에 맞게 구성할 수 있음
- Nội dung giáo dục của địa phương : 지역의 교육 내용. 각 지역의 역사 등이 대상
이외에도, 학교의 여건 등에 따라 다음과 같은 교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 Tiếng dân tộc thiểu số : 소수민족언어
- Ngoại ngữ 2 : 제2외국어. 제1외국어로 선택된 외국어를 제외한 나머지 중 택일
외국어 교과
현재 베트남에서 '외국어 교과목[Môn ngoại ngữ]'으로 지정된 언어는 총 7개이다.
각 지방 혹은 학교에서는 여건에 따라서 이 중 하나의 언어를 택하여 교과목으로 삼으면 된다.
보통은 영어가 정해지는데, 영어의 세계적 위상과 보편성 때문이기도 하며 다른 언어 교과를 가르칠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전의 교육과정인 2006 보통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총 4개의 언어가 지정 대상이었다 ; 영어[Tiếng Anh], 러시아어[Tiếng Nga], 프랑스어[Tiếng Pháp], 중국어[Tiếng Trung]
2011년에 추가적으로 일본어[Tiếng Nhật]가 지정 대상으로 편입되었다.
그리고 2021년에 2개의 언어가 추가 지정되었다 ; 한국어[Tiếng Hàn], 독일어[Tiếng Đức]
그래서 현재 영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독일어 총 7개가 교과목 편성 대상이다.
Trung học cơ sở가 끝나면...
정확히 말하면 의무 교육은 아니지만,
사실상 의무 교육이기 때문에 대부분 THCS까지는 졸업을 한다.
THCS 졸업 이후에도 학업을 이어 나가는 사람들은 대부분 세 갈래의 루트를 탄다.
- 1번 루트. Trung học phổ thông 진학 → 졸업 시험 → 취직 or 대학 교육
- 2번 루트. 직업 교육 기관으로 진학
- 3번 루트. Trung tâm giáo dục thường xuyên에서 학습. 한국으로 치면 '평생교육센터'로, 나이가 학습연령에서 오버된 성인들이 주로 등록을 한다. 실질적으로는 '문맹'으로 분류되는 성인들에게 문자 교육 등을 하는 쪽에 가깝다.
Trung học phổ thông
약칭으로 cấp 3, THPT이라고 쓰며 간혹 PTTH이라 쓰기도 한다.
한국으로 치면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기관.
10학년[Lớp 10]부터 12학년[Lớp 12]이며
10학년 입학 나이는 15세이다.
의무 교육이 아니기 때문에 졸업하기 전에 직업 교육을 위해 학교를 그만두고 직업 교육 기관으로 편입할 수도 있다.
12학년을 마치면 '졸업 시험'이 학생들을 기다리고 있다.
<교과목>
'2018 보통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고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과목의 핵심 특징은 다음과 같다.
- 8개의 필수 과목
- 이전 교육과정에서 선택과목을 3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던 것을 폐지
- 선택 과목 중 4개를 선택
이전 교육과정인 '2006 보통교육 프로그램'과 비교를 해보면 다음과 같다.
2006 보통교육 프로그램 | 2018 보통교육 프로그램 | |
필수 과목 |
|
|
선택 과목 | 총 3개의 그룹으로 분류. 총 5개를 선택해야 하며, 각 그룹당 최소 1개의 과목을 선택해야 함.
|
그룹 폐지 전체에서 총 4개를 선택.
|
<Khối란?>
10학년을 진학하게 되면, 한국의 고등학교에서 문과냐 이과냐를 선택하는 것처럼 일종의 진로를 정하게 된다
크게 자연과학반[Ban khoa học tự nhiên], 사회과학반[Ban khoa học xã hội]으로 나뉘는데.
이 반에서 Khối(혹은 Tổ hợp)라는 것이 또 나뉜다.
'중점 과목 조합' 정도가 적합할 것 같은데.......
각 khối 당 3개씩 과목이 조합되는데,
만약 대학을 진학할 예정이라면 어떤 khối를 정하냐에 따라서 진학할 수 있는 대학이 정해지며
고등학교 졸업만이 목적이라면 고등학교 졸업 시험에서 자신이 정한 khối에 해당하는 과목 점수가 당락을 결정한다.
khối는 크게 자연과학반에 속하는 A, B와 사회과학반에 속하는 C, D로 나뉘지만
일종의 예체능 과목인 môn năng khiếu를 포함하는 N, M, H, S, T, V 등이 있다.
예를 들어, khối B는 수학, 화학, 생물학으로 조합되어 있는데
의학 계열 대학을 가고자 한다면 10학년에 khối B를 택해야만 한다.
졸업 시험과 대입
<2001년~2014년> - 졸업 시험과 입학 시험
2001년부터 2014년까지는 '고등학교 졸업 시험'인 thi tốt nghiệp trung học phổ thông(약칭 : TNTHPT), '대학 입학 시험'인 thi tuyển sinh đại học và cao đẳng이 구분되어 있었다.
고등학교 졸업 시험을 치고 1달 후에 대학 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은 자신이 선택한 khối에 맞게 추가로 시험을 쳐야 했다.
<2015년~2019년> - THPTQG
졸업 시험과 대학 입시의 이중고, 그리고 각종 비용이 이중으로 들어가는 등의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15년부터 두 종류의 시험을 하나로 합친 thi trung học phổ thông quốc gia(약칭 : THPTQG)을 시행한다.
<2020년~현재> - 제도 회귀와 변형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각 지방의 상황 등으로 시험이 일시에 치러지는 것이 불가능해지면서 기존의 '졸업 시험'으로 갑작스럽게 회귀를 선언한다.
THPTQG의 폐지는 없다는 식으로 나오던 교육부가 갑작스럽게 예전 TNTHPT 체제로의 전환을 발표하자 굉장히 혼란스러웠다.
하지만 이전과 다르게 대학 입학 시험은 부활하지 않았고, 고등학교 졸업 시험을 각 대학에서 그대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그리고 동시에 각 대학에서 개발하고 평가하는 '평가 시험'이 등장해 학생들의 대입에 활용된다.
(1) 능력 평가(Đánh giá năng lực)
하노이국가종합대, 호찌밍시국가종합대, 공안부에서 각각 주관하는 시험 유형이다.
하노이국가종합대의 '능력 평가'는 영어 약어로 HSA라고 쓰며 약 70개의 대학에서 활용한다.
호찌밍시국가종합대의 '능력 평가'는 영어 약어로 V-ACT라고 쓰며 약 90개의 대학에서 활용한다.
그리고 이 두 시험은 서로 점수를 환산하는 기준이 있어 교차 활용이 가능하다.
공안부의 '능력 평가'는 인민공안대학 입학 시 활용한다.
(2) 사고 평가(Đánh giá tư duy)
하노이백과종합대학에서 주관하며 TSA라고 쓴다.
약 30개의 대학이 활용한다.
2025년 졸업 시험은 어떻게?
2018 보통 교육 프로그램은 2020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을 하고 있으며
올해 최종적으로 전학년에 적용을 완료했다.
그래서 오는 2025년 졸업 시험은 기존과 다른 형식으로 진행이 된다.
수험생들은 어문과 수학의 2과목을 필수적으로 응시해야 하고,
외국어, 역사, 물리, 화학, 생물학, 지리, 경제와 법률 교육, 컴퓨터, 기술 과목 중
2개의 과목을 본인 선택에 따라 응시를 한다.
정확히는 모르겠으나 본인이 선택한 khối에 맞추어서 과목을 선택하는 게 아닐까?
3. Giáo dục nghề nghiệp
Trường trung cấp
직업 교육 기관 중 하나로, 중학교 졸업장 이상의 요건이 필요하다.
또한 고등학교를 다니던 중에도 옮길 수 있고,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난 후에도 입학이 가능하다.
다만 중학교 졸업자의 경우는 50 tín chỉ, 고등학교 졸업자는 35 tín chỉ가 기준이라는 차이가 있다.
<Niên chế와 Tín chỉ>
보통 교육을 하는 교육 기관인 초중고는 '학년'을 중심으로 교육을 진행한다.
이렇게 '학년'을 중심으로 교육을 하는 방식을 niên chế라고 한다.
그러나 직업 교육과 대학 교육에서는 tín chỉ, 일종의 '학점'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을 중심으로 학제를 운영한다.
베트남 국가 역량 체계
베트남어로 Khung trình độ quốc gia Việt Nam(KTĐQG) ; 영어로 Vietnamese Qualifications Framework(VQF)라고 쓰는 이 체계는 산업과 직무 관련 교육을 하나의 틀로 정리를 한 것이다. 여기에는 일반 직업 관련 교육부터 전문대와 일반 대학, 석박사까지 포함된다.
총 8단계가 있다
- 1단계[Bậc 1] : Sơ cấp Ⅰ, Chứng chỉ[자격증]가 주어짐.
- 2단계[Bậc 2] : Sơ cấp Ⅱ, Chứng chỉ[자격증]가 주어짐.
- 3단계[Bậc 3] : Sơ cấp Ⅲ, Chứng chỉ[자격증]가 주어짐.
- 4단계[Bậc 4] : Trung cấp, Bằng[졸업장/학위]가 주어짐.
- 5단계[Bậc 5] : Cao đẳng, Bằng[졸업장/학위]가 주어짐.
- 6단계[Bậc 6] : Đại học, Bằng[졸업장/학위]가 주어짐.
- 7단계[Bậc 7] : Thạc sĩ, Bằng[졸업장/학위]가 주어짐.
- 8단계[Bậc 8] : Tiến sĩ, Bằng[졸업장/학위]가 주어짐.
4. Giáo dục đại học
석박사 단계를 제외하면 대학 교육을 진행하는 교육 기관은 cao đẳng과 trường đại học으로 대별된다.
Cao đẳng
일종의 '전문대'로 볼 수 있다.
교육 및 양성부가 아니라 노동, 상병 및 사회부에서 관리를 한다.
THPT 혹은 Trung cấp의 졸업장이 필요하다.
60 tín chỉ가 기준으로 약 2~3년의 교육이 진행된다.
학위는 cử nhân thực hành[bachelor of applied arts], kỹ sư thực hành[bachelor of applied science]이 주어진다.
Trường đại học
일반적인 대학교로 대부분은 교육 및 양성부에서 관리한다.
그러나 각 전문 분야에 따라서 타 부처에서 운영, 관리를 하는 대학들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호찌밍시 7군에 위치한 똔득탕 대학교(Trường đại học Tôn Đức Thắng)은 베트남노동자총연맹에서 관리하고, 하노이건축대(Trường đại học kiến trúc Hà Nội)는 건설부에서 관리한다.
120~180 tín chỉ가 기준으로, 대략 4년이 기준이나 학과 과정 등에 따라 최대 7년까지도 늘어난다.
학위는 cử nhân[BA], kỹ sư[BS]가 주어진다.
Trường đại học과 Đại học의 구분
이 두 단어는 보통은 혼용되지만,
용어상 명백히 구분해야 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일반 대학이냐 종합 대학이냐를 이야기할 때이다.
일반 대학은 trường đại học을 쓰지만 đại học만을 쓰는 종합 대학이 현재 9개 존재한다.
Đại học이 되는 충족 기준이 몇 가지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trường đại học이 3개 이상 모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의 trường đại học은 '단과대학'을 의미한다.
Trường đại học Kinh tế, Trường đại học Xã hội và Nhân văn 등등 같은 계열의 학과들이 모인 단과대학들의 연합체가 바로 종합대학이다.
(많은 사람들이 어학당 등록을 하는 호찌밍시 인사대는 단과대학으로 호찌밍시국가종합대의 한 단과대이다)
9개의 đại học은 국가종합대학[Đại học quốc gia], 지방종합대학[Đại học vùng], 분야종합대학[Đại học lĩnh vực], 사립종합대학[Đại học tư thục]으로 구분한다.
<Đại học quốc gia>
-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 Đại học quốc gia Thành phố Hồ Chí Minh : 예컨대 호찌밍시국가종합대의 경우 8개의 단과대학, 1개의 지방 캠퍼스로 구성이 되어 있다.
<Đại học vùng>
- Đại học Đà Nẵng
- Đại học Huế
- Đại học Thái Nguyên
<Đại học lĩnh vực>
일정한 분야에 따라 교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대학을 의미한다.
- Đại học Bách khoa Hà Nội : Kỹ thuật và Công nghệ
- Đại học kinh tế Quốc dân : Kinh tế và Kinh doanh
- Đại học Kinh tế TPHCM : Kinh tế và Kinh doanh
<Đại học tư thục>
- Đại học Duy Tân : 다낭의 유명 사립대. 2024년에 종합대로 승격되었다.
Dư bị đại học
'예비 대학'이라고 번역할 수 있는 이 교육 기관은 엄밀히 말하면 대학이 아니다.
그리고 일본 등지의 예비 대학과는 다른 아주 도드라지는 특징이 있다.
바로 '소수 민족'에게만 입학 자격이 주어진다는 점이다.
본인이 '소수 민족'으로 되어 있거나, 부모 중 한 명이 '소수 민족'에 해당한다면 입학 요건이 된다.
그리고 고등학교는 졸업했으나 정규 대학에 진학할 요건이 안 될 경우 혹은 유학을 준비중인 경우 여기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기간은 보통 6개월에서 1년 정도이며
진학을 원하는 대학과의 연계 과정 등으로 교육 과정이 운영된다.
현재 베트남에는 총 4개의 예비 대학이 있다.
- Trường Dự bị Đại học Thành phố Hồ Chí Minh : 호찌밍시에 위치
- Trường Dự bị Đại học Dân tộc Trung ương Nha Trang : 카잉화 성 냐짱에 위치
- Trường Dự bị Đại học Dân tộc Sầm Sơn : 타잉화 성 섬선에 위치
- Trường Dự bị Đại học Dân tộc Trung ương : 푸터성 비엣찌에 위치
'베트남 소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 들고 무쌍을 찍을 뻔했던 냐짱(나트랑)의 한 사업가 (0) | 2025.01.14 |
---|---|
화학 물질로 길러진 숙주를 공급받은 Bách Hoa Xanh - 시장을 더 신뢰하는 베트남인들이 많은 이유 (0) | 2024.12.30 |
베트남 뚜옌꽝에서 건물 안으로 차를 몰아 17개월 여아를 친 자동차의 운전자는 바로 공안! (1) | 2024.12.23 |
빈패스트 전기자동차 택시 taxi xanh은 진짜 주의해야 할 듯 (3) | 2024.11.28 |
베트남의 더 강력해진 SNS 검열 시작 (0) | 2024.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