띠엔의 남편, 꼬미 아빠로 살아가기

우리 딸의 이름에 대한 이야기

베트남10선비 2023. 5. 31. 21:00
728x90
반응형

계속 포스팅에서 '꼬미'라는 태명을 쓰고 있었지만,
이미 아버지께서 "하린"이라는 이름을 받아 오셨다.
 

 

1. 태명 "꼬미"

 
뱃속에 있을 때부터, 이름이 정해지기 전까지 태명을 불렀다.
태명은 "꼬미"
 
내가 달랏 팩을 가기 전부터 아내가 자꾸 짜증과 발열감, 잔뇨감 등을 표했다.
처음에는 생리 불순의 영향이 아닐까 했는데, 며칠 지켜보니까 임신 초기 증상과 비슷한 느낌이 들었다.
물론 아내에게 직접 말하지는 않고 나 혼자 마음의 준비만 하고 있었다.
 
내가 달랏 패키지 뛰고 있는 동안 아내도 이상함을 느꼈는지, 임신 테스트기를 해봤고 결과는 임신이었다.
내가 패키지를 마무리하고 정산을 끝낸 다음 같이 병원을 가기로 해서 살짝 늦어졌는데,
병원에서 검사를 했을 떄는 4주 6일이 되었고 아기집 크기가 14mm라고, 어떻게 알고 검사하러 왔냐고 그랬다.
그래서 되게 쪼끄마할 때 처음 만나게 되었다고 "쪼꼬미", 줄여서 "꼬미"라고 부르게 되었다.
 
아내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 태명이 베트남 사람들에게 특이하게 들릴 수 있다는 사실을 처가에서 처음 알게 되었다.
 

 
베트남 인스턴트 라면 브랜드 중에 위의 사진처럼 '꼬꼬미(Kokomi)'라는 브랜드가 있던 것.
자꾸 막내 처제가 이 이야기를 해서 태명을 잘못지었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그래도 그런 거 하나하나 다 따지면 의미있는 태명을 짓기는 쉽지 않았겠지.
 


2. 이름 "河橉(하린)"

 
우리 삼형제의 이름을 할아버지께서 지어주셨던 것처럼,
우리 꼬미의 이름을 아버지께 맡겼다.
아버지께서는 이름 잘 짓는 철학가 분께 맡겼다. 아마 아버지 개명하고 어머니 개명과 관련이 있으신 분인 듯?
 
아버지께 맡기기는 했지만, 우리 부부도 나름대로 생각을 해보았다.
인기있던 여아 이름을 놓고 어느 이름이 예쁜가 이야기를 나누어보았다.
그래서 제일 순위에 꼽혔던 이름은 '하린'
 
그런데 마침 아버지, 어머니께서도 이름 후보군을 만들어 놓으셨고
거기에 하린이라는 이름이 제일 마음에 들어하신다는 의사를 비치셨다.
이름 지어주시는 분께 한글로 된 이름 몇 가지를 추려서 가져가면
그 이름에 맞추어서 한자로 이름을 짓는 구조라는 것.
 
아무튼 부모님의 후보군에 하린이라는 이름이 있는 걸 본 우리 부부는
당연히 하린이라는 이름을 선호했고,
그렇게 탄생한 이름이 바로 "河橉"이다.
 
河 : 물 하
橉 : 나무이름 린
 
河 자의 경우는 내가 만약 이름을 지었다면, 나도 이 글자를 사용했을 것이다.
조금 옛날 방식이기는 하지만 항렬, 돌림자를 쓴다면 이 글자가 적합하기 때문.
우리 형제의 경우는 錫을 돌림자로 사용한다. 오행에서 金에 해당하는 항렬이기 때문.
오행상생 순서상으로는 金 다음 항렬은 水이다.
그리고 만약 항렬자를 쓴다면 '린'보다는 '하'에 항렬을 두기 편하고, 水가 들어간 '하'라는 글자는 아무래도 河자가 대표적이기 때문.
 
그런데 작명가 선생님도 비슷한 점을 고려했다.
다만 우리의 항렬이 아니라 성씨를 고려한 것. 성이 김(金)이기 때문에 성 다음 글자를 상생(相生)을 고려하여 水 변이 있는 글자를 쓰신 것이다.
 
'린'이라는 이름에는 보통 麟, 燐, 璘을 제일 많이 쓰지 않나 생각된다. 그에 반해 橉은 좀 생소한 편.
생소한 글자이지만, 다행스럽게도 대법원 인명용 한자에 들어있다.
'나무이름 린'. 이 글자에 대응되는 나무의 학명은 'Prunus buergeriana', 주로 중국 동남부부터 한국, 일본의 따뜻한 지역 일부는 물론 대만과 인도 일부와 부탄 등지에 자생하는 나무라고 한다. 일본어로 'イヌザクラ(dog cherry)'라고.
 
고대 중국에서 橉이라는 나무는 주로 '강남의 깊은 산골짜기(深山)'에서 자란다고 되어 있다.
키가 크고 덩치가 있는 나무며, 목질이 단단하다. 태워서 거른 후 술을 만들면 속병에 좋으며, 염색에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이 나무로 문지방이라도 만들었던 것인지 아니면 발음 때문인 것인지 戶橉이라는 표현이 있다. 주로 楚 지역에서 시작된 표현인데, '문지방'이나 '문턱'을 뜻한다고 한다. 《회남자》에는 "枕戶橉而臥者, 鬼神蹠其首.(문턱을 베고 눕는 자는 귀신이 그 머리를 밟는다)"라고 하였다.
 
橉이라는 글자를 사용한 이유는 앞의 河 자 때문이다.
河가 성의 金의 기운을 받아서 생장하는 글자라면, 橉은 오행의 목(木)으로 앞의 水의 기운을 받아서 생장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름의 글자는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生木)의 구조를 가지게 된 것이다.
 

3. 베트남 이름은?

 
사실 베트남 이름은 발음이 비슷한 베트남식 이름(예컨대 Hà Linh 같은?)을 짓지 않을까 했는데,
아내가 외국어 표기인 Ha Rin을 그대로 쓰고 싶어해서 그렇게 지어질 듯하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