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소식&정보

[베트남 정보] "베트남의 부처님오신날, 한국과 다른 이유는? | 음력 4월 8일 vs. 4월 15일 차이"

베트남10선비 2024. 5. 11. 16:34
728x90
반응형

 

 

🌸 베트남의 부처님오신날은 언제일까?

하린이의 돌잔치를 위해 미리 냐짱에 와 계신 어머니께서 어느 날 "베트남의 '부처님오신날'은 언제야?"라고 물으셨다. 순간 '어?' 하는 생각이 스쳐 지나갔고, 포스팅을 남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 한국 vs. 🇻🇳 베트남, 부처님오신날 비교

📅 날짜 차이

한국: 음력 4월 8일 (4월 초파일) ➝ 법정공휴일
베트남: 음력 4월 15일 (Lễ Phật Đản) ➝ 법정공휴일 ❌

💡 한국과 중국은 대체로 음력 4월 8일을 기념하지만, 동남아시아에서는 음력 4월 15일을 기준으로 한다.

🏛️ 명칭 차이

  • 한국: 부처님오신날
  • 베트남: Lễ Phật Đản (Phật Đản = 佛誕, 불탄의 베트남식 발음)

📑 개념 차이

👉🏼 음력 4월 8일 : 부처의 탄생만을 기념 (성도재일: 음력 12월 15일, 열반절: 음력 2월 15일)

👉🏼 음력 4월 15일 : 탄생, 성도, 열반을 모두 같은 날짜에 기념 (베트남어로 이 날을 ' Lễ Tam Hợp(Lễ Tam Hiệp)'라고도 부르는 이유!)

※ Lễ Tam Hợp(Lễ Tam Hiệp): Phật đản sinh(탄생), Phật thành đạo(성도), Phật nhập niết-bàn(열반)이 합치되었다는 의미

 

베트남의 불교 신자 비율이 높음에도 법정공휴일이 아니라는 점이 흥미롭다.


🔎 왜 날짜가 다를까?

🏯 음력 4월 8일을 기념하는 이유 (대승불교 중심)

➡️ 대승불교(大乘佛敎)의 영향을 받은 지역에서는 음력 4월 8일을 기념한다.
➡️ 한역(漢譯) 대승불교 경전인 《불소행찬(佛所行讚)》, 《불설태자서응본기경》 등에 4월 8일로 기록되어 있다.

📜 《불소행찬》의 기록 :

藍毘尼勝園 流泉花果茂
寂靜順禪思 啟王請遊彼
王知其志願 而生奇特想
勅內外眷屬 俱詣彼園林
爾時摩耶后 自知產時至
偃寢安勝床 百千婇女侍
時四月八日 清和氣調適

 람비니(藍毘尼)의 아름다운 동산, 샘물 흐르고 꽃과 열매 무성하네.
고요하고 고요하여 선정[禪思]에 들기 좋아, 거기서 노닐기를 왕에게 청하시니
왕은 그 바라는 바를 알고, 기특한 생각이라 여기셨네.
안팎의 권속들에 명을 내려, 동산 숲으로 함께 가게 하니
그때 마야(摩耶) 왕후는, 아기 낳을 때가 이르렀음을 스스로 아셨네.
편안하고 좋은 침상에 눕자, 수많은 궁녀들이 왕후를 모셨네.
때는 4월 8일이라, 맑고 온화한 기운 고르고 알맞았다네.

 

💡 중국 불교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베트남 북부도 원래는 4월 8일을 따랐다!

🚧 그러나! 《불소행찬(佛所行讚)》은 산스크리트어 경전《 붓다차리타(Buddhacarita) 》의 한역(漢譯) 경전인데, 정작 《 붓다차리타》에는 4월 8일이라는 내용이 없다!!!


🌏 음력 4월 15일을 기념하는 이유 (남방불교 중심)

➡️ 산스크리트어 경전 《자타카(Jataka)》( 한역 경전 《본생경(本生經)》 )에서 "비사카(Vaisakha) 달의 보름달이 뜨는 날"로 기록(음력 4월 15일)
➡️ 당시 인도 역법으로 비사카의 달에서 보름달이 뜨는 날이 "8번째 날"이었는데, 한역을 하는 과정에서 역법을 착각해 4월 8일과 혼동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북방불교(대승불교) ➝ 4월 8일
남방불교(상좌부불교) ➝ 4월 15일
베트남(통합 후) ➝ 현재 4월 15일 기준


📌 베트남이 음력 4월 15일을 선택한 이유

🇱🇰 1950년 스리랑카에서 열린 ‘세계불교도우의회’에서 4월 15일을 불탄일로 공식 채택!
📌 1981년 베트남 불교회(Giáo hội Phật giáo Việt Nam)에서 이를 공식 인정하며 현재까지 이어짐.

💡 하지만 전통적으로 4월 8일을 기념했던 베트남의 역사성도 고려하여, 보통 4월 8일부터 15일까지 1주일간 부처님오신날 행사를 진행한다.


🏯 불교 용어 정리 (한국어 - 베트남어)

🔸 부처님 관련

  • 싯다르타 태자: Thái tử Tất Đạt Đa
  • 룸비니 동산: Vườn Lâm Tỳ Ni
  • 부처님오신날(불탄일): Lễ Phật Đản

🔸 불교 종파

  • 대승불교 (북방불교) ➝ Phật giáo Bắc truyền (Bắc tông)
  • 상좌부불교 (남방불교) ➝ Phật giáo Nam truyền (Nam tông)
  • 밀교Phật giáo Mật truyền (Mật tông)

📌 베트남 불교의 5대 종파

  1. 선종: Thiền tông
  2. 정토종: Tịnh độ tông
  3. 밀종: Mật tông
  4. 남방불교(남종): Nam tông Khmer
  5. 걸사파(탁발불교): Hệ phái Khất sĩ Việt Nam

💡 남방불교(남종)은 주로 남부 크메르족 중심으로 신앙되어 일반적으로 '크메르의 남종'이라 불림

💡 걸사파베트남 불교의 특색있는 종파로, 1944년 '석가의 정법을 잇는다'는 기치로 초기불교, 남북종의 가르침 등을 융합하여 만든 종파.

🔸 불교 교리 관련

  • 대승(大乘)   Đại thừa
  • 상좌부(上座部) ➝ Thượng tọa bộ
  • 금강승(金剛乘) ➝ Kim cương thừa
  • 진언(眞言) ➝ Chân ngôn
    • 삼장(三藏) ➝ Tam tạng
    • 경장(經藏) ➝ Kinh tạng 
    • 율장(律藏) ➝ Luật tạng
    • 논장(論藏) ➝ Luận tạng
    • 인과(因果) ➝ Nhân quả
    • 윤회(輪廻) ➝ Luân hồi
    • 업보(業報) ➝ Nghiệp báo
    • 사성제(四聖諦) ➝ Tứ Thánh Đế
    • 고제(苦諦) ➝ Khổ đế
    • 집제(集諦) ➝ Tập đế
    • 멸제(滅諦) ➝ Diệt đế
    • 도제(道諦) ➝ Đạo đế
    • 팔정도(八正道) ➝ Bát Chánh Đạo
    • 정견(正見) ➝ Chánh kiến
    • 정사유(正思唯) ➝ Chánh tư duy
    • 정어(正語) ➝ Chánh ngữ
    • 정업(正業) ➝ Chánh nghiệp
    • 정명(正命) ➝ Chánh mạng
    • 정정진(正精進) ➝ Chánh tinh tấn
    • 정념(正念) ➝ Chánh niệm
    • 정정(正定) ➝ Chánh định

📝 마무리

✅ 한국과 베트남의 부처님오신날은 음력 4월 8일 vs. 4월 15일 차이가 있음.
✅ 베트남은 전통적으로 4월 8일을 기념했으나, 세계불교도우의회의 결정으로 4월 15일로 변경됨.
✅ 현재 베트남에서는 4월 8일부터 15일까지 1주일 동안 부처님오신날 행사가 열린다.

 


📢 더 알고 싶다면?

🔗 베트남 불교 역사와 종파 정리 : 베트남 출신 스님이 쓰신 글 ([불교신문 링크])

 

728x90
반응형